<기본 전기 생리학>
1)안정막 전위 : 심근세포 내부는 K⁺이온이 많고, 세포 외부는 Na⁺과 Ca⁺⁺ 이온이 많아 상대적으로 세포 내부는(-) 전하가 되고, 세포 외부는 (+) 전하를 띈다.
2)탈분극 : 안정막 전위가 유지되던 중 지속적으로 소량의 Na⁺이 세포 내부로 새어 들어가면서 세포 내부의 전위가 증가한다. 증가하던 전위가 역치에 도달하면 즉각적으로 세포막의 Na⁺ 통로가 열리면서 Na이온이 급속도로 빠르게 세포 내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새포 내외의 분극 상태가 붕괴는 탈분극이 시작 되고, 이온 이동에 따라 Phase 0~4단계의 활동전위 나타남.
Phase 0 : Na⁺ 이온이 빠르게 세포 안으로 유입
Phase 1 : Na⁺ 이온 유입 중단, Ca⁺⁺ 이온이 서서히 세포 안으로 유입
Phase 2 : Ca⁺⁺ 지속적인 유입
Phase 3 : 세포 안의 K⁺이 세포 밖으로 빠르게 빠져 나감
Phase 4 : Na-K pump
3)전도체계
동결절(SA node) : 60~100회/분
방실결절(AV node) : 40~60회/분
히스속(bundle of His)
좌우 각(bundle branch)
푸르키니예섬유(Purkinje fiber) : 20~40회/분
<심전도 파형과 군, 간격>
1)P파 : 심방이 흥분해 가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처음에 우심방과 상대정맥의 경계에 있는 동결절이 흥분하므로 우심방이 먼저 흥분한다.
P파 파형의 앞의 1/3은 우심방의 흥분을, 뒤의 1/3은 좌심방의 흥분을 나타내며, 가운데 1/3은 양쪽의 훙분이 합쳐진 상태을 나타내고 있다.
2)QRS군 : 심실의 흥분을 나타내는 가장 눈에 띄는 파형이다.
히스다발->우각과 좌각->푸르니키예섬유까지 한꺼번에 전도하고 심실의 흥분 (탈분극)이 일어난다. QR, S파의 3가지 파형이 모여 QRS군을 형성한다.
첫하향파동을 Q파, 첫 상향파동을 R파, R파에 이어지는 하향파동을 S파라고 정의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