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계 학교에 대한 문헌 조사
- 최초 등록일
- 2014.07.16
- 최종 저작일
- 2014.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1. 1876년 개항 이후 시대적 상황
2. 선교사의 내한과 선교활동으로서의 교육
Ⅱ. 본론
1. 근대학교의 설립 및 개설교과
2. 민족주의 교육
1) 학생들의 사회참여 활동
2) 국어교육과 역사교육
3. 교육기회의 보편화
1) 여성교육
2) 특수교육
4. 신문화의 수용과 보급
1) 음악 교육
2) 체육 교육
5. 일제강점기 시기의 기독교계 학교
1) 만세활동
2) 신사참배 거부
Ⅲ. 결론
1. 함께 생각해 볼 문제
2.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1876년 개항 이후 시대적 상황
19세기 말 당시 집정하고 있던 대원군은 철저한 쇄국정책을 펼쳤으나 1875년에 일본이 고의로 강화도에서 운양호 사건을 유발시키면서 1876년에 소위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를 강제로 맺게 되었다. 이것을 시작으로 하여 여러 열강에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하였는데, 1882년에는 미국·영국·독일과, 1884년에는 이탈리아·러시아와, 1886년에는 프랑스와 조약을 맺게 된다.
2. 선교사의 내한과 선교활동으로서의 교육
1884년에 한미수호조약이 체결된 후 선교 사업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감리교 선교단을 선두로 하여 교육사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기독교는 어느 국가나 지역을 대상으로 하든, 선교의 방편으로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 사업을 전개하는 것을 중요한 사명으로 믿는다. 왜냐하면 더 많은 기독교 신자를 집중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과 또한 복음이란 나이가 어린 사람일수록 그것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한국은 전근대적인 사회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근대적인 교육이나 의료사업은 불모지의 상태 그대로였다.
<중 략>
구한말 미국인 선교사들은 우리나라의 근대 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전에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나, 근래에 이르러 미국인 선교사들의 활동을 제국주의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한 예로, 1907년 대부흥운동을 중심으로 한말 미국인 선교사들은 한국인 신자들에게 구국투쟁에 가담하는 것은 비종교적인 것이라고 가르쳤으며 일제의 침략을 한국인의 죄 탓으로 돌려 현실 순응의 자세를 갖게 했고, 이 결과 국가의 현실을 외면하게 하여 사회적 책임을 못하게 하는 결과를 낳게 하는 한편 일제가 한국을 병합하는 과정을 평탄케 했다고 주장한다. 자신은 선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대해서 긍정적인 입장인지 부정적인 입장인지 생각해보고 그 이유에 대해서 자유롭게 말해보자.
참고 자료
국사편찬위원회(2011),『한국근대사 기초자료집2. 개화기의 교육』,국사편찬위원회
후루카와 아키라(2006),『구한말 근대학교의 형성』, 경인문화사
이만규(2010),『다시읽는 조선 교육사』, 살림터
교육신문사(1999),『한국교육 100년사』, 교육신문사
여휘숙(2005),《개화기 기독교계 사립학교의 교육이념과 실제》, 경북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조지제(2001),《구한말 미국인 선교사들의 한국 근대 교육의 역사적 성격에 관한 연구》, 論文集 Vol.29 No.1, 2001
조효섭(2007),《개화기 기독교학교가 근대교육에 미친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도산안창호 온라인 기념http://www.ahnchangho.or.kr/site/main/a03_02.php#list_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