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마약 공급책 에게서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체포된 의정부 경찰서 소속 A경사 구속영장이 기각되었다. 이유는 피의자가 계속 부인하고 있으며 유일한 증거인 관련자들의 진술에 대한 신빙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결국 이 사건은 물증이 없으므로 유명무실화 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여기서 하나 더 짚어야 할 것은 국민의 반응이다. 국민의 지팡이이자, 부패 척결이 목표인 경찰이 오히려 부패를 저질렀다는 이 기사를 읽은 대부분은 ‘그럼 그렇지 ’하며 당연하다는 듯 넘어갈 것이다. 과연 그럴까? 나의 주장은 매우 신빙성이 있는데 매년 국민권위원회에서 실시하는 청렴도 평가에서 ‘2012~13년 연속해 공공기관에서 규제·단속을 업무로 하는 14개 기관 중 경찰청이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경찰 청렴도에 대한 국민적 인식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경찰 부패에 관한 문제는 ‘룸살롱 황제 리스트-경찰.유흥 업소간 유착비리 사건’,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사건에 대한 경찰수사 축소 논란‘, ‘사회 지도층의 성접대 사건 눈치보기’ 등 수 없이 제기되어왔다. 경찰이란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그리고 교통의 단속 등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그 직무로 하는 공무원’이다. 즉 경찰은 공공질서를 위해 때로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며 따라서 공정한 신뢰와 정직이 절실한 직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 논문에서는 경찰의 신뢰가 낮은 국가에서는 공무원 부패가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공무원 특히 경찰의 신뢰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훨씬 부패 방지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생각하여 이 논문에서는 ‘경찰‘ 공무원의 거래적 부패의 원인과 경찰이 가져야할 공정성, 중립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참고자료
· 『경찰 공무원의 사기진작에 관한 소고 후생복지제도와 언론을 중심으로』
· 『시민참여를 통한 경찰부패방지에 관한 연구』 (송병호) p4
· 『공무원 부패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이정덕), (장정현)(2012) p.21
· 『경찰부패사례에 대한 연결망 이론적 접근』 (전수일)
· 『열린 공동체 관점의 인권도시와 시민참여』 (김기곤) p250
· 말단 경찰들의 거래부패는 주로 보수, 제멋대로 검찰, 주민이 지검장 뽑아야 사라진다. (김진욱 변호사)
· 『경찰의 민주적 통제 방안에 대한 토론회 자료집』 (2012. 09.17)
· 「경찰공무원의 국가윤리정립에 관한 연구」 『한.독 사회과학논총, 제13권, 제1호』 (2003)
· 『각국의 경찰 부패 통제 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황우) (2008)
· 『2002 설문조사 결과 분석』행정자치부 공무원직장협의회
· 『한국 경찰 옴부즈만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노산)
· 『한국행정의 민주화 정착을 위한 모색」, 한국행정학회 , (조용효)
· 『한국 민주행정론』(1988) pp5658
· 『경찰 부정 부패에 대한 학술적 이론』
·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 sm=tabhty.topwhere=nexearchie=utf8query=%EB%A7%88%EC%95%BD%EB%B2%94+%EC%9D%98%EC%A0%95%EB%B6%80+%EA%B2%BD%EC%B0%B0+%EB%87%8C%EB%AC%BC+%EC%88%98%EC%88%98
· SBS 뉴스추적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 page=1gCode=kmiarcid=0006027403cp=nv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 totalid=13315210cloc=olink|article|default
· http://www.nocutnews.co.kr/news/120672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