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게쉬탈트심리학
- 최초 등록일
- 2003.06.19
- 최종 저작일
- 2003.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1장에서는 게쉬탈트 심리학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고
2장과 3장에서는 그 대표적인 퀼러의 통찰설과 레빈의 장이론을
각각 4-5장 분량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물론 상대적으로 이론이 어려운 레빈의 장이론이 더 구체적이고 자세합니다.
목차
Ⅰ. 게쉬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Ⅱ. 통찰설(Insight theory, 洞察說)
Ⅲ. 장(場)이론
본문내용
게쉬탈트 심리학은 1912년, 독일인 심리학자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 1880-1943)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베이트하이머는 인간이 사물을 지각할 때 전체,형태,관계의 성질로 지각된다고 하였고, 이와 같은 지각현상을 파이현상이라 하였다. 이에 게쉬탈트(Gestalt)라는 말은 형태 혹은 유형(Pattern)의 의미에 해당하는 독일어로, 흔히 조직된 양식이나 형태 혹은 부분들의 집합과 대조된 의미로서 조직된 ‘전체’를 의미한다. 이에 형태심리학(Configuration Psychology)이라고도 부르며, 근본적으로 행동주의 심리학의 경험론적.환원주의적,요소주의적,객관적,행동주의적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에 서있다. 게쉬탈트 심리학은 학습이론 가운데 인지론(認知論)에 속한다. 인지론은 학습을 지각과 개념의 능동적 재구성으로 보는 입장으로, 인지론자들은 학습을 반응(행동)의 변화가 아닌 인지구조의 변화로 봄으로써 학습에서 행동적인 면보다는 개념적인 면을 더 강조하였다. 학습과정은 자극과 반응의 기계적인 결합이나 조건 형성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환경을 능동적으로 지각, 이해하고 탐구하는 정신적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게쉬탈트 심리학의 대표적인 이론으론, 쾰러의 통찰설과 레빈의 장이론, 툴만(Tolman)의 기호-형태설이 있으나, 본문에서는 통찰설과 장이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참고 자료
1990, 조경원 외, 《교육학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 나동진, 《교육심리학-인지적접근》, 학지사.
2002, 김남성, 《교육심리학(제 2증보판)》,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