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노스페이스 브랜드 선정배경
우리나라의 아웃도어 시장은 매년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유럽 전체의 아웃도어 시장의 규모가 약 2조원에 비해, 우리나라의 아웃도어 시장은 2012년 기준으로 약 5조 8000억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급속도로 성장하는 아웃도어 시장의 선두에 있는 기업이 바로 노스페이스이다. 하지만 아웃도어 시장이 성장하면서 지나치게 높은 가격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등골 브레이커’ 라는 새로운 신조어를 만들어 내는 등, 여러 가지 악재를 겪었다. 이에 코오롱 스포츠, K2, 블랙야크 등 경쟁사들이 무섭게 쫓아오면서 노스페이스는 상대적인 시장 점유율이 점점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과연 어떠한 이유로 인해 노스페이스가 현재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지,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다시 과거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연구해보기로 했다.
<중 략>
특히 블랙 제품의 경우 어두운 색상의 교복과 무난하게 잘 어울릴 뿐 아니라 다른 제품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13만원)이기에 학생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은 편이었다. 이처럼 노스페이스는 기본에 충실한 디자인, 그리고 유행을 좇지 않는 테크니컬 브랜드이미지를 추구했다. 그리고 아웃도어시장이 지금만큼 활성화되지 않았던 2006년, 다른 친구들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수용되었다. 하지만 아웃도어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타 브랜드에서는 상대적으로 선발주자인 노스페이스에 대항하기 위한 틈새전략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강조한 제품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학생들도 너도나도 입는 브랜드가 아닌 자신만의 색깔을 보여주고 싶어 했다. 시장규모가 5조 8천억 원 이른 2012년, 유행을 빠르게 소비하는 청소년층은 이미 획일화되어 매력도가 떨어진 노스페이스에서 다른 브랜드로 발길을 돌리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