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회와 농문화] 쌀의 전래과정, 쌀의 전설, 농경의 시작, 토지제도, 이앙법, 근대 쌀 문화의 변천단계, 일제의 쌀 수탈, 미군정 토지정책, 새마을운동, 시장개발과 오늘날 농업
- 최초 등록일
- 2014.06.23
- 최종 저작일
- 2014.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성것 작성하여 만들어서 A학점 받은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목차
1. 쌀의 전래과정
2. 쌀의 전설
3. 농경의 시작
1) 신석기 시대
2) 청동기 시대
4. 토지제도
1) 삼국 시대
2) 고려 시대
3) 조선 시대
5. 이앙법
6. 근대 쌀 문화의 변천단계
7. 일제의 쌀 수탈
1) 제1기 : 무단통치시기(1910∼1919)
2) 제2기 : 문화정치시기(1919∼1931)
3) 제3기 : 병참기지화 및 전시동원시기(1931∼1945)
8. 미군정 토지정책(1945년~1948년)
9. 새마을운동(통일벼)
10. 시장개발과 오늘날의 농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쌀의 전래과정
벼의 재배 기원에 대해서는 고고학자들이 많이 연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보면 인도에서는 BC 7,000~5,000년대에, 중국에서는 BC 5,000년경(神農時代)에 벼를 재배하였다고 한다. 한국에는 기원전 2,000년경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선사시대 유적지에서 발굴된 탄화된 쌀이나 벼의 탄소 동위원소 연대추정(carbon dating) 및 기타 고고학적 증거로부터 짐작할 수 있다.
한국에 쌀이 보급되기 이전에는 잡곡(피 ·기장 ·조 ·보리 ·밀 등)을 주식(主食)으로 하였으나 1천여 년 전, 즉 통일신라시대부터 벼의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쌀이 우리 식생활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결국 쌀이 들어오면서 분식(粉食) 중심에서 쌀밥 중심의 식생활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 후부터 한국에서 쌀이 차지한 정치적 ·경제적 ·농업기술적 위치는 너무나 뚜렷하다.
쌀은 5∼6세기경까지만 해도 귀족식품으로 인식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주식 유형을 보면 북부는 조, 남부는 보리, 귀족층은 쌀이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오면서 쌀은 물가의 기준이요 봉급의 대상으로 할 정도로 귀중한 존재가 되었다. 쌀의 생산량이 좁쌀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차차 좁쌀보다 많아져 곡류의 대표격이 된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온 후부터라고 생각된다. 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옛날부터 낟알로 밥을 지어 일상식품으로 하였고, 분식으로서는 가루를 내어 떡을 만들어 명절이나 제사 때 별식으로 사용하였다.
2. 쌀의 전설
동남아시아가 쌀의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지역에는 쌀과 관련된 신화와 전설이 많이 남아 있다. 쌀의 기원에 대한 신화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시체화생형(屍體化生型)으로서 죽은 여자의 시체에서 조 ·사고야자 ·코코야자 등의 재배식물과 함께 쌀이 생겼다는 신화이고, 다른 하나는 수락신형(穗落神型)의 기원신화로서 새가 하늘이나 다른 성지(聖地)에서 벼이삭을 물고 와 땅 위에 떨어뜨려 생겨났다는 설이다.
참고 자료
공준원 저, 우리 쌀 오천년, 우인북스 2014
백명식 저, 위대한 쌀과 밥, 씽크스마트 2011
최해춘 저,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1997
이춘녕 저,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