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란 무엇인가?>
언어에는 인간의 복잡한 삶이 그대로 들어있고, 이 둘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면서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
언어를 통해 여러 형태의 소중한 문화를 공유하고, 그것을 다음 세대에 전승하기도 한다.
"언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같지 않을까?
'언어는 소리와 뜻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은 언어(소리와 뜻)를 구사하기 적합한 신체적 조건을 갖고 있다
발성기관 -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발성기관
두뇌 - 뜻을 이해할 수 있는 두뇌
<중 략>
언어는 문화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첫 열쇠
문화의 소산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언어가 문화에 영향을 미침
=> 한민족의 문화는 그들의 언어 속에 고스란히 녹아 있고, 역으로 언어가 그 민족의 문화를 형성해 간다
문화가 언어에 영향(언어의 문화 반영)
이누이트 - 눈관련 어휘:
-gana:하늘에서 내려오고 있는 눈
-aput:땅에 내려 앉은(쌓여 있는 눈)
-pigsirpog: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는 눈
-gimugusg:바람에 휘날려 무더기로 쌓여 있는 눈
민주어원사람들 - 다섯 계절: 이른 봄,늦은 봄,여름,가을,겨울
Ladakh (인도)사람들 - 경작지 면저고가 같은 공간 개념을 세는 단위'하루,이틀,사흘' 등
'언어, 문화를 담고 있다
'언어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한 언어를 제대로 배우려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을 직접 경험해야 한다
'시원하다'
-> 뜨거운 음식, 뜨거운 목욕물
"다음에 식사 한 번 하시죠?"
-> 인사말(한국어) <=> '약속'과 '책임'(독일어)
남녀 표현(언어 속에 나타나는 남성 위주 역사의 단면)
어순에서의 남성우위:'아들딸','소년 소녀','신랑 신부' <=> '년놈' (남성 중심적 사고)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여자 셋이 모이면 그릇이 깨진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