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본론
1. 진핵세포의 전사
1) 전사의 시작
2) 전사된 RNA의 조작 (RNA Processing)
3) alternative splicing
2.진핵세포의 전사조절
1) 진핵세포의 gene expression regulation
2) Enhancers
3) Silencers
4) Insulators
3. 진핵세포의 전사 메커니즘
1) RNA polymerase
(1) RNA polymerase의 생화학적 비교
(2) Subunits of RNA polymerase
2) RNA polymerase에 의한 진핵세포의 전사
(1) RNA polymeraseⅡ에 의한 진핵세포의 전사
1> Promoter Structure
2> Transcription Initiation
(2)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Ⅲ
1> Promoter structure
2> Transcription Initiation
3> Transcription Elongation and Termination
(3)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Ⅰ
1> Promoter Structure
2> Transcription Initiation
3> Transcription Elongation and Termination
4. 진핵세포의 전사 조절 요약
5. RNA 중합효소 Ⅱ에 의하여 전사되는 유전자의 전사 조절
6. 전사 인자 [Transcription factor
1)정의
2)기능
3)전사의 기본적인 조절
4)발생의 조절
5)세포간 신호에 대한 반응
6)환경에 대한 반응
7)세포 주기의 조절
7. 전사인자의 종류
1) 아연집게 [ zinc finger ]
2) 류신지퍼 [ leucine zipper ]
3) 나선 대 나선연결구조 [ helix-turn-helix ]
③결론
④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진핵세포에서의 유전자 잘현의 조절은 세균에서 본 조절 단계에서 모두 조절될 수 있으며, 거기에 부가적으로 몇 가지 조절이 더 가능하다. 부가적 조절 단계 중 가장 특이한 것은 이어맞추기이다. 다수의 예에서 특정 전사체는 서로 다르게 이어 붙여져 서로 다른 산물으 만들 수 있으며, 이 또한 조절 가능하다. 그러나 가장 주도적인 조절 단계는, 세균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사개시 단계이다. 실제로, 세균에서 전사가 조절되는 원리는 진핵세초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세균에서의 전사 조절원리는 원핵세포의 유전자 조절에서 찾을 수 있다.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전사하는 RNA 중합효소 II에서 특히 그러하다 전사 장치가 더 복잡함에도, 진핵세포에서의 전사는 활성화인자와 억제인자에 의해 다시 조절된다. 이들 인자는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로 적절한 신호에 반응하여 특정 유전자의 전사개시를 활성화 또는 억제한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진핵세포 및 진핵세포 유전자에는 이들 조절 단백질의 적용을 복잡하게 하는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먼저 이 두 가지 가장 중요한 복잡성을 요약해보자면, 뉴클레오솜과 뉴클레오솜의 구조를 바꾸는 인자들: 진핵세포의 유전체는 히스톤 단백질에 싸여 뉴클레오솜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전사 장치는 부분적으로 감춰진 기질과 만나게 된다. 이런 조건은 조절 단백질이 없는 상태에서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진핵세포는 히스톤을 재배열하거나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여러 효소를 가지고 있어, 이 변화가 뉴클레오솜의 구조를 바꾸어 전사 장치와 여러 DNA 결합 단백질의 결합력애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뉴클레오솜은 세균에는 없는 문제를 갖고 있지만, 그것의 구조 변화는 또한 새로운 조절 기회를 제공한다. 보다 많은 조절 단백질과 보다 광범위한 조절서열: 진핵세포와 원핵세포 간의 또 다른 차이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수이다. 이것은 전형적인 유전자에 존재하는 조절인자 결합자리의 수와 배열을 반영한다. 세균에서는 각각의 조절인자가 짧은 서열에 걸쳐 결합하지만, 진핵세포에서는 이들 결합자리의 수가 많고 전사 개시부위에서 훨씬 멀리 떠러진 곳까지 위치한다. 유전자에서 전사 장치가 결합하는 자리를 프로모터, 각각의 결합자리를 조절인자 결합자리, 한 유전자의 모든 조절인자 결합자리 전체를 조절서열이라 부른다. 유전자의 조절서열의 확장, 즉 조절인자 결합자리의 증가는 초파이와 포유류 같은 다세포 생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