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개요
2장 장내균무리와 프로바이오틱스
3장 프로바이오틱스의 다양한 작용
4장 생리활성 유산균의 산업적 생산
5장 국제적동향과 유산균
요약
본문내용
인체의 창자(장, intestine)에는 100조 개에 해당하는 약 1kg의 세균이 서식하고, 인체의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여기에는 인체에 유익한 균과 유해한 균이 공존, 서로 간의 균형에 따라 건강상태가 결정
프로바이오틱스, 넌 누구?
살아있는 미생물로 적정량을 섭취하였을 때 건강기능효과를 주는 미생물 (주로 비피더스균과 유산간균에서 선발)
<중 략>
장내 건강의 장내 균무리 관리가 좌우한다
균무리(균총, microflora): 다양한 미생물의 무리
장내균무리(장내 균총, intestinal microflora): 소화기에는 약 500종의 미생물이 균무리를 형성
-외부환경과 병원성 세균뿐아니라 식품에 존재하는 해로운 성분에 대한 방어막 기능을 수행한다.
<중 략>
균주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먼저 각 균주에 적합하도록 배지의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 우선 (이유 : 각 균주마다 필요한 영양요구성이나 생축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각 균주에 대한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등의 종류와 농도에 대한 최적화가 되어야하기 때문.)
참고자료
· 기능성 식품학 (라이프사이언스)
· 食品微生物學(신광출판사)
· http://blog.naver.com/lthoolthoo?Redirect=Log&logNo=140158577503 – NAVER블로그
· http://cafe.naver.com/jangammedical/202-NAVER블로그
· 섬유질 식이에 의한 Probiotics 효력증강 효과, 2009, 장 석
· 아토피 예방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화 기술개발, 보건복지부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이용한 알레르기예방, 2005, 지근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