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아나키스트 박열 PPT
- 최초 등록일
- 2014.06.02
- 최종 저작일
- 2014.05
- 23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목차
1. 박열의 생애
2. 박열과 아나키즘
3. 박열과 허무주의
4. 결론
본문내용
<박열과 아나키즘의 조우>
경성보통고등학교 입학 이후 식민지 한인 교육정책의 부당함을 느낌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만행, ‘고토쿠슈스이’ 의 대역사건 등은 박열의 세계관을 변화시킴
특히 1919년 3.1운동 이후, 항일 사회 반역사상을 구체화함.
→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폭압적인 진압과 식민지배 정책의 폭력성은 박열로 하여금 “인종과 인종 사이에는 본래부터 평등하고 인간과 인간 사이에는 절대로 자유평등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중 략>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신뢰할 수 없게 된 박열.
⇒ 박열의 사유방식은 ‘허무주의’로 전향됨.
그러나, 박열의 허무주의는 “그 어떤 것도 무의미하므로 할 필요가 없다.”는 무위의 허무주의가 아니다!
박열의 허무주의는 역설적으로 자신을 내던져 사회와 인간에게 충격을 주고, 그것으로 사회변혁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것.
참고 자료
이경민, 「아나키스트 박열 부부의 괴사진 사건 : 근대 사진문화의 풍경 4 」, 새얼문화재단, 황해문화, 2006.
전상숙 「박열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7(1), 2008
정창현, 「조선대학교 도서관에서 만난 후세와 박열, 그리고 박영효 - 남과북, 재일 동포의 공동자산」,민족21, 2009
OBS, “특별기획 _ 세상을 움직이는 역사 : 잊혀진 영웅, 아나키스트 독립투사 박열”.
KBS, “역사스페셜 _3·1절 기획 조선 독립운동에 경의를 표함 일본인 변호사 후세 다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