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ⅰ. 실버 의료산업의 필요성
1. 실버의료산업의 특성
2. 실버의료산업의 필요성
ⅱ. 실버 의료산업의 실태
1. 노인의료복지시설
2. 노인치매병원
3. 방문보건사업
4. 가정간호사업
5. 실버의료용품사업
ⅲ. 실버의료산업의 과제와 전망
1. 노인의료복지시설
2. 노인치매병원
3. 방문보건사업
4. 가정간호사업
5. 실버의료용품사업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최근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전체 인구에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인구는 전체의 9.1%로서 4,383천명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15.7%로서 7,821천명, 2030년에는 24.1%로서 11,899천명, 2050년에는 37.3%로서 15,783천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통계청, 2005 : 7-8). 이와 같은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우리나라도 점차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이다.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함과 동시에 사회가 고도로 산업화?도시화되고 가족제도가 핵가족화 되며 노인부양의식이 점차 약화되어 노인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변화로 인하여 노인들에게 경제적 문제, 건강문제, 심리적 문제 및 여가선용의 문제 등이 초래되어 노인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노인인구가 증가함과 동시에 신체적?정신적으로 허약한 후기 고령노인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통계청, 2005 : 8), 이들은 대부분 치매, 중풍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다(정경희 외, 1998 : 196). 최근 노인부양에 대한 가족의 책임의식이 약화되고 여성의 사회활동이 증가게 되어 이러한 허약하고 질병을 가진 후기 고령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전망이다.
치매, 중풍 등의 노인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의 대부분은 장기간 전문적인 요양, 치료, 재활 등과 같은 보건의료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실행위원회(2005),『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실시모형 개발연구』.보건복지부․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2004),『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개발연구 (Ⅰ)(Ⅱ)』.
변용찬(1997),『치매관리 Mapping 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변재관(2001), “노인요양시설 평가결과 및 정책방안”,『보건복지포럼』, 제56호, 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편(2001),『가정․방문간호사업의 확대 및 정착을 위한 장기 발전방안』.
보건복지부(2004a),『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2004b),『방문보건사업 운영지침』.
보건복지부(2005a),『노인보건복지사업 안내』.
보건복지부(2003-2005b),『노인복지시설현황』.
선우덕(2002),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현황과 개선방향”,『대한병원협회지』, 제31권 2호, 대한병원협회.
선우덕(2002), “노인전문병원의 개선방안”,『보건복지포럼』, 제69호, 보건사회연구원.
선우덕 외(2001),『노인장기요양보호 욕구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임종국(2002), “노인전문병원 활성화 방안”,『대한병원협회지』, 제31권 제2호, 대한병원협회.
오영희․김종민(2001), “노인요양시설 현황분석과 정책과제 : 시설의 인력, 재정, 설비를 중심으로”,『보건복지포럼』, 제57호, 보건사회연구원.
이재선(2003),『치매노인환자 요양실태와 개선방안』-공립치매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정책자료.
장현숙 외(2001),『시․도립 치매요양병원 및 노인전문병원 사업 및 실적평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장현숙 외(2003),『노인의료복지시설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채근(2003),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활성화 방안”,『노인복지연구』, 제20호, 한국노인복지학회.
정경희 외(1998),『노인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 외(2001),『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 수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차흥봉 외(2000),『고령화 사회의 장기요양보호』, 도서출판 소화.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노인장기요양보호 욕구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2),『의료기관 가정간호 서비스 실태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3a),『노인의료복지시설 운영실태』.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3b),『공공병원 가정간호사업과 보건소 방문간호사업 연계지침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3c),『요양병원 운영실태 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황나미(2002), “재가노인 관리를 위한 가정․방문간호사업의 현황과 정책방안”,『보건복지포럼』, 제71호, 보건사회연구원.
厚生勞動省大臣官房統計情報部 編(2002),『介護サービス施設․事業所調査』, 厚生統計協會.
Cochilla, S. J.(1998), Long-Term Care, 2nd ed, Chicago: Dearborn Financial Publishing, Inc.
Evashwick, C. J.(1996), The Continuum of Long-Term Care : An Integrated System Approach, Albany, New York : Delmar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