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레의 개념(명칭, 유래, 구성, 종류), 전통 두레의 기원과 사회적 배경, 두레의 조직과 두레일, 두레의 종류, 두레의 소멸
- 최초 등록일
- 2014.05.27
- 최종 저작일
- 2014.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성것 작성하여 만들어서 A학점 받은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목차
1. 두레란?
(1) 명칭
(2) 유래
(3) 구성
(4) 종류
2. 전통 두레의 기원과 사회적 배경
(1) 황두와 두레
(2) 향도와 두레
3. 두레의 조직과 두레일
4. 두레의 종류
(1) 길쌈두레(모시두레, 삼두레, 두레길쌈, 삼둘계)
(2) 두레 김매기
5. 두레의 소멸
본문내용
농촌에서 서로 협력하여 공동 작업을 하는 풍습, 또는 이를 위하여 부락이나 이(里) 단위로 구성한 조직부락 ·이 단위의 모임은 만두레라고 한다. 동회(洞會) ·동제(洞祭)와 같은 씨족사회 유풍이다. 주로 농번기의 모내기에서 김매기를 마칠 때까지 시행된다. 두레의 조직은 부락 내의 장정이 주가 되며, 참여 자격은 노동능력에 따라 두레의 역원이 재가(裁可)한 후 가입이 허락된다. 역원의 구성은 통솔자인 행수(行首) 1명, 보좌역인 도감(都監) 1명, 두레작업의 진행을 지휘하는 수총각(首總角) 1명, 두레규약을 감시하는 조사총각 1명, 유사(有司) 1명, 방목지의 가축으로부터 전답을 보호하는 방목감(放牧監) 1명으로 되어 있다. 행수 ·도감은 자작농민 중에서 인망과 역량이 있는 자를, 그 외에는 소작농이나 머슴 중에서 선출하였다.
<중 략>
두레조직은 통치권의 행정조직과는 별개로 일차적으로는 자생마을 단위의 생산조직이다. 마을 공동체 시절에는 마을마다 있었던 두레답과 동답으로 불리는 공유답은 의무적인 두레 공동경작으로 마을 재정의 기본으로 삼았다. 두레구성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소·중농 경작지는 상호부조적으로 공동경작한다. 본인 대신 머슴만 두레에 참여시키는 지주의 넓은 사유지의 경작은 두레노동의 반대급부로 두레 유사의 계산에 따라 현물 또는 현금으로 지불 받아 경작지가 없거나 적은 두레구성원에게 분배해주고 나머지는 두레 재정에 보탰다. 두레에 일꾼을 보낼 수 없는 과부나 노약자의 경지는 공공부조적으로 무상경작해주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특히 화폐경제가 농촌에 침투한 말기 두레에서는 가벼운 반대급부를 두레에서 요구했다.
두레조직은 항구적이었으나 마을 대동굿 기간이 끝나고 농번기가 다가오는 정월 보름에서 2월 중에 16세부터 55세까지의 신입회원을 받는 신참의식, 조직역원 선출, 마을 대소사 논의, 각자의 호미를 두레청에 걸며 공동작업 의지를 결속하고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 두레총회로써 조직을 재가동시켰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