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구제역이란?
1) 구제역의 정의
2) 원인체
3) 전염 경로
가) 직접 전파
나) 간접접촉 전파
다) 공기 전파
4) 증상
가) 소의 특징적 증상
나) 돼지의 특징적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예방약
3. 2010 구제역 확산 '비상' 사태
1) 발생경과 과정 및 특이사항
2) 구제역 확산 현황
3) 발생원인은?
4) 피해상황은?
5) 방역 및 대처 상황
가) 초기 대응 내용
나)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구성
다) 정부의 향후 대응 방안
4. 과거 구제역 발생 사례
1) 1933년
2) 2000년
3) 2002년
4) 2010년 상반기
5. 해외 구제역 발생 상황
6. 구제역, 대책은 없는가?
1) 정부 정책 및 지원 방향
2) 축산농가의 역할
3) 국민의 노력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그림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초소에서 출입차량에 대한 방역작업이 진행 중이다
출처 : 데일리안(2010.12.6)
정부는 12월 29일 오전 중앙청사에서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및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구제역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어 지난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5개 시도로 확산됨에 따라 범정부 차원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기로 하였다. 또한 구제역 경보단계도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시켰다. 정부의 위기대응 경보가 심각 단계로 높아진 것은 지난해 신종플루가 확산될 때 이후 두 번째이지만, 가축전염병으로 심각 경보가 내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에 정부는 행안부, 농식품부 등이 참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중앙 및 지방 공무원은 물론 경찰력까지 동원해 구제역 방역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12월 25일에 처음 시작된 백신접종의 대상 지역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등 당국의 방역 대처능력이 한계에 이른 것 아니냐는 우려가 서서히 나오고 있으며, 특히 이번 구제역에 대해 방역당국이 아직까지도 원인은 물론 전파경로를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한 상태여서 이대로 가면 전국이 구제역에 감염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최근 경기 여주와 이천에서 검출된 구제역 바이러스가 생성 이후 최소 1~2주 뒤에야 나타나는 ‘항체양성’ 반응을 보여, 상당수 바이러스가 이미 인근 지역으로 확산됐을 개연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구제역으로 12월 29일까지 2,236농가의 523,518마리가 살처분 됐으며, 피해액은 대략 4,500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구제역이 한우, 젖소, 돼지의 사육 규모가 큰 경북, 경기, 충청 지역으로 계속해서 번져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또, 그동안 구제역은 5, 6월에 발생했던 반면 이번 구제역의 경우 방역은 어렵고 확산은 쉬운 한겨울에 발생했다는 점도 문제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고 추위에는 강해 날씨가 추울수록 확산이 잘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혹한기에는 방역호스가 얼어붙는 등 방역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참고 자료
김태성, 구제역 발생이 축산농가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농협경제연구소, 2010.1.15
김태성, 최근 구제역 발생에 따른 시장동향과 시사점, 농협경제연구소, 2010.12.20
구제역(FMD) 관련 문답집, 농림수산식품부, 2010.1.7
대성미생물연구소, www.dsmbio.com
국립수의과학검역원, www.nvrqs.go.kr
장성구, 인천서구.청송.양평서도 구제역 발생(종합), 연합뉴스, 2010.12.27
윤종석, 구제역 한달만에 중앙재해대책본부 가동(종합), 연합뉴스, 2010.12.29
임일영, 또 수의사가 전파?, 서울신문, 2010.12.29
정민승, 감염경로 오리무중 방역 당국 패닉상태, 한국일보, 2010.12.22
한상준, 구제역과의 전쟁 한달새 4500억 피해, 동아일보, 2010.12.29
지원선, 정부, 구제역과의 전쟁 경보 최고단계 격상, 세계일보, 2010.12.29
공감코리아 블로그,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