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RE란?
2 Carbapenem계 항균제
3 CRE감염증 진단기준 및 처리절차
4 CRE 확인을 위한 실험실 진단
5 결론
본문내용
* Carbapenem – 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카바페넴 약제에 내성인 장내세균속.
* 카바페넴에 내성
카바페넴 분해효소 생성
* Cabapenem 항균제 내성균의 특징
- 3세대 Cephalosporin에 고도의 내성을 지닌다. ( Cefotaxime, Ceftazidime)
*장내세균
- 임상검체 전체 분리균의 1/3 차지
- 그람음성 막대균의 80%
- 요로감염, 위장감염, 폐렴, 패혈증 등 감염증을 유발
* 카바페넴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
- 의료기관 내에서 전파
- 여러 계열의 항균제에 내성
- 장기입원환자, 인공호흡기, 중심정맥관 등의 침습적 처치를 받는 중환자
- 치명률과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
<중 략>
1. 멸균생리식염수 5ml에 ATCC 25922 E.coli를 면봉으로 잘 풀어 탁도 MacFarland 0.5로 맞춘다.
2. MacFarland 0.5로 부유시킨 ATCC25922 E.coli 균주 0.5ml를 멸균생리식염수 4.5ml에 넣어 1:10 희석시킨다.
3. 배지(MH or Mac)에 균액을 고루게 도말 한 다음 Disk(MEM, ETP)
배지 중앙에 심는다.
4. MHT 양성검체를 Disk 중심에서 아래로 획선(20~25mm)을 긋는다.
5. 시험할 검체와 음성검체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다.
6. 35 ℃ ± 2 ℃ 일반 배양이게 16~24시간 배양 후 판독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