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소비자의 구매행동
Ⅱ. 시장세분화
Ⅲ. 마케팅 믹스전략
Ⅳ. 제품포지셔닝 전략
Ⅴ. 마케팅 근시안
Ⅵ. 제품수명주기
Ⅶ. 풀 전략/푸시 전략
Ⅷ. 데이터베이스(DB) 마케팅
Ⅸ. 데이터마이닝
본문내용
외제 상표가 붙은 청바지가 수입가격의 2-3배 가격으로 불티나게 팔리고, 2-3백만 원하는 팬티가 잘 팔린다는 보도는 보통의 서민으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제는 우리 전자제품도 품질이나 가격 면에서 상당한 경쟁력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소비자는 왜 굳이 외제를 선호할까? 이러한 의문의 구매행동은 시장의 여러 곳에서 종종 관찰되는 일인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동의 전 과정과 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구매행동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즉흥적인 구매와 합리적인 구매로 나눌 수 있다. 즉흥적인 구매는 외부의 이물질이 눈에 들어갈 때 우리 인체는 즉흥적으로 눈을 감게 되는 것처럼, 기업이나 유통업자들의 반복적인 광고에 의하여 반사적이고 거의 무의식적으로 구매반응을 보이는 태도를 말한다. '광고를 많이 하는 상품은 믿을 수 있겠지', '비만 제품은 무엇인가 나아도 낫겠지', '천연원료를 사용하는 상품은 당연히 비싸겠지', '남들도 다 사는데 나라고 못 사냐' 하는 생각으로 소비자들은 감정적인 구매를 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는 광고를 분석하고, 늘 이웃사람들과의 만남(준거집단, Reference Group)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도 얻고, 자신이 실제로 제품을 사용하여본 경험에 의하여 자신의 개인적인 특성이나 가정 또는 사회에서의 위치에 맞는 소비를 추구하려는 합리적인 구매태도를 보인다.
<중 략>
데이터에서 유사한 성향을 가진 것들을 찾아 어떤 연관성을 가진 규칙(association rule)을 찾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객의 구매 자료에서 가죽 옷을 구매한 고객은 한 달 이내에 양은 면티셔츠를 산다는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앞으로 가죽옷의 구매자에 대한 향후 구매행동을 분석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세 번째로, 이미 집단화가 되어 있는 고객이나 제품의 차별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새로운 고객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면 기존의 집단에 분류하는(classification and prediction)역할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