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우상 비판과 불교의 공사상 비교
- 최초 등록일
- 2014.05.06
- 최종 저작일
- 2013.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니체가 말하는 우상에 대한 비판을 알아보고, 이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니체의 사상
ⅰ. 우상에 대한 비판
ⅱ. 허무주의와 영원회귀
ⅲ. 힘에의 의지, 그리고 초인(超人)
Ⅲ. 불교의 공(空)사상
ⅰ. 연기와 공(空)
ⅱ. 대승불교의 공(空)
ⅲ. 『금강경』에서의 공(空)
Ⅳ. 니체의 우상 비판과 공(空)사상의 비교
ⅰ. 허무주의와 공(空)
ⅱ. 영원회귀와 공(空)
ⅲ. 초인(超人)과 공(空)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천재는 세상에서 수용할 수 없다고 했던 말을 어디에선가 접한 적이 있다. 니체는 바로 그러한 존재였다. 과장을 조금 보태어, 니체는 그 스스로가 신이었다고 일컬을 수 있다.
일반 사람이 걷지 못했던 행보를 보이며 말년에는 광기에 사로잡혀 쓸쓸히 생을 마감한 이 사상가는 생존 당시에는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당시 세상의 중심이며 절대적인 권위를 자랑하고 있었던 기독교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던 것이 주된 원인일 것이다.
니체는 우상이라 할 수 있는 진리, 신, 그리고 가공의 저 세계 등을 무너뜨림으로써 그간 사람들이 믿어왔던 최고의 가치를 없애버렸고, 그로 인해 능동적인 허무주의를 형성시켰다. 이 능동적인 허무주의는 자신에게 철저함으로써 그 자신을 초월한다.
본 과제는 이러한 니체의 우상 비판의 내용과 흐름에 관한 구체적 내용과, 공(空)사상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공이란 쉽게 비어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여기서 비어있다는 것은 마음의 평정상태, 혹은 본질의 비어있음을 말한다. 전자는 초기불교에서의 공, 후자는 대승불교의 공이다. 공사상은 불교 사상, 특히 대승불교 사상의 근저에 놓인 주춧돌로서, 공사상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불교를 이해할 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중 략>
공이라는 것의 개념은 연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연기라고 하는 것은 ‘어떤 것을 연(緣)하여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 인간이라는 존재와 인간을 포함하고 있는 세계는 반드시 어떠한 원인과 조건에 근거하여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모든 존재가 하나의 고유한 성격과 특수한 양상을 가지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이 존재와 현상들은 원인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존재들의 생멸변화는 우연한 것이 아니다. 열두 가지로 열거되는 연기의 엄격한 법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나’라는 존재도 무언가 관련이 있는 것이나 특정 조건 없이는 존재하지 않고, 어떤 것도 실체적으로 본래 실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실체적인 존재가 부정되는 것을 불교에서는 공(空)이라고 일컬어왔다.
참고 자료
E. 콘즈 외 저, 김종욱 역, 『불교사상과 서양철학』, 민족사, 1991
고병권 저, 『니체 - 천 개의 눈, 천 개의 길』, 소명출판, 2001
고병권 저,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그린비출판사, 2003
가지야마 유이치 저, 김성철 역,『공 입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7
김영진 저, 『공(空)이란 무엇인가』, 그린비출판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