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 불안개념,하이데거의 철학,안토니오니 감독 소개,미장센느의 개념 소개
- 최초 등록일
- 2014.04.26
- 최종 저작일
- 2014.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1,7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공간은 불안의 장소이다
2-2. 공간은 미장세느적이다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 하이데거의 철학
현존재는 ‘거기에 있음’이고, ‘존재가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장소’라는 의미인데, 불안은 현존재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던 것이 무의미함을 느낄 때나 거주하는 세계에서 자신을 둘러싸고 있던 모든 것들이 갑자기 사라짐을 느낄 때 현존재는 불안의 정서인 섬뜩함을 느끼게 되는데, ‘시뮬라크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자면, 이것은 원본과 복제물의 구별을 못하게 하는데, 이로써 원본이 복제를 흉내 낸다는 전도현상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써 실재가 아예 사라진다고 볼 수 있고 그 때문에 불안의 정서를 느끼게 된다.
- 안토니오니 감독 소개
안토니오 감독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시나리오에 협력하는 것으로 영화계에 데뷔하였고 감독의 대표작인 <정사>, <밤>, <일식>에서 인간상호의 정신적 교류의 불확실성, 사랑의 불안정성, 고독감 등을 공통 주제로 하여 독특한 스타일을 전개해 나갔다. 안토니오의 영화 스타일을 설명 하면 내러티브의 전개를 위해서 할리우드가 닫힌 공간을 선호한 것과 달리 공간의 깊이 감을 통해서 열린 광간으로써의 다양한 정보를 관객들에게 전달해 주었다. 그러나 내러티브로 이어지는 극적 긴장감을 해소시키기 위해 시각적인 언어를 사용해 이미지간의 연결로 주제를 전달했는데, 예를 들면 프레임의 전경에 주인공들을 위치시키고, 후경에 풍경을 묘사하여 주인공들의 심리를 표현했다. 또, 현대인들의 소외와 고독감을 화면의 넓은 공간을 시각적으로 묘사해서 풍경이 배우와 조화를 이뤄서 관객들에게 감정을 전달한다는 스타일을 추구하였다.
- 미장센느의 개념 소개
세트, 의상, 조명, 배우의 움직임과 분장, 연기, 조형 등을 이야기 하는 것인데, 이 요소들이 그 상황을 이야기 해주는 것을 말한다. 즉, 따로따로 보여주지 않아도 그 상황에서 인물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모두 보여주는 것입니다.
참고 자료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민병록)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일식〉과 ‘죽은 시간’의 모험 (이윤영)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 영화에 나타난 도시/건축적 요소의 활용 : 1950·60년대 이탈리아 도시풍경을 중심으로 (문근종, 서유진)
영화사를 바꾼 명작면으로 영화 읽기 (신강호)
www.cine21.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