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역사에서 서양과학의 수용에 해한 전반적인 내용정리본..
리포트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목차
I. 머 리 말
II. 몸 말
1.서양 과학의 영향
2. 홍대용과 최한기의 과학사상
III. 맺 음 말
본문내용
역사학자들은 1860년대 부터 한국의 근대화 노력을 다양한 관점으로 평가하였다. 1860년대부터 1910년 까지의 연구는 주로 실학에 집중되었고 실학은 개화파가 현실 타개와 대응책으로써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현실 대응책 내지는 타개책으로 관심을 갖게 된 시기에는 실학에 대한 객관적 연구는 없었다. 실학이 당시에도 일정한 현실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910년 이후 조선이 일본에 완전히 종속되고 식민지 반봉건 사회로 이행됨으로써 실학의 현실성이 없어지고, 실학의 근본 요소인 맹아적 민족 의식, 근대 지향 의식 그리고 그 바탕에 깔려있는
참고 자료
박성래,"서구과학과 한국의 근대화",{한국과학사학회지}, 제 5권 제1호, 1983.
------,"한.중.일의 서양과학 수용",{한국과학사학회지}, 제 3권 제1호, 1981.
------,"한국 근대의 서구과학 수용",{東方學志}, 제 20집, 1978.
------,"홍대용의 과학사상",{韓國學報}, 23.
------,"한국 근세의 서구과학 수용",{東方學志}, 20(1978) pp.264-267.
------,"정약용의 과학사상",{다산학보}, 제1집, 1978.
김기협,"조선시대에 있어서의 한일 과학기술교류",{한국과학사학회지}, 제5권 제1호,
1983.
------,"Western Studies and Confucian Responses in 18th Century Korea",{ Journal of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Vol.9, No.1, 1987.
------,"Development of Shilhak and Western Studies in Eighteenth Century Korea",
{한국과학사학회지},제11권 제1호, 1989.
김용운,"조선후기의 계몽사상과 수학",{ 한국과학사학회지} , 제5권 제1호, 1983.
------,"조선시대 산학사상",{한국과학사학회지}, 제5권 제1호,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