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험 명칭, 시험 목적 및 주의사항
2. 시험 참가자 이름
3. 시험 일시
4. 준비물
5. 시험방법 및 순서
6. 결과
7. 시험 시 문제점 (오차의 원인)
본문내용
흙의 액성한계 및 소성한계 시험은 흙의 컨시스턴시 중 액성한계 및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해 행한다. 세립토는 함수비에 따라 고체 상태에서 반고체 상태, 소성 상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 때 각각의 상태에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라고 정의 하며 이 세개의 함수비를 통틀어 아테버그 한계라 칭한다. 이 시험 결과는 세립토의 분류, 판별, 점성토의 역학적 성질을 추정하는데 이용되며 흙의 노상재료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주의사항
1. 액성한계 시험 시 시료에 물을 지나치게 가하여 유연해진 경우에는 반죽하여 뒤섞으면서 공기 건조 시켜야 하며, 건조된 흙을 다시 섞는 것은 피한다.
2. 액성한계 시험 시 건조된 흙을 섞는 경우에는 함수비가 골고루 일정해지도록 유의한다.
3. 소성한계 시험 시 손바닥에 힘을 주면 깨져버릴 염려가 있으니 힘의 분산에 유의한다.
4. 소성한계 시험 시 3mm이하에서도 부스러지지 않으면 다시 뭉쳐서 굴린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