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정의
Friedlander&Apte(1980):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일체의 공적, 사적 보지기관의 서비스 전달 체계망
Hodge&Anthony(1982):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수혜자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조직구조
Gilbert(1993): 지역차원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간, 공급자와 수혜자간의 기관의 조직적 배열
최성재·남기만(1997):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간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또는 복지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간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조직
<중 략>
4) 민간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
민간 수용시설·이용시설은 불균형한 지역 분포로 인해 실질적 수혜를 받아야 할 클라이언트의 접근성이 확보되지 않아 사회복지 서비스의 누락과 중첩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폐쇄성을 띠고 있어 지역사회의 타 기관들과의 협조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불안한 재정으로 인한 사회복지시설의 열악한 근무환경(노동강도·임금·복지혜택 등)과 이에 따른 높은 이직률, 되풀이되는 업무 인수인계와 사원 재교육 등으로 인한 사기저하와 낮은 업무효율 등도 문제가 되고 있다.
5) 민간복지 전달체계의 개선 방안
민간 사회복지 시설은 전국적으로 수요조사를 재실시하여 이에 따른 시설개편을 추진해야 하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재정 확보를 위해 정부 기관이나 기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며 지역사회의 협력체계 또한 구축되어야 한다.
참고자료
· 삼육대학교 원격평생교육원, 『사회복지개론』
· 황성철,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우리나라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 및 개편 방안에 대하여
· 변용찬 외, 『사회복지시설 거주자의 건강증진 및 시설운영 개선방안 연구』
· 강혜규, 『시범보건복지사무소와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개편』
· 박찬용 편, 『사회보장발전 목표설정과 정책과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