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
- 최초 등록일
- 2014.04.11
- 최종 저작일
- 2014.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I. 선정관련
1. 주제선정배경
2. 조사과정
II. 본론
1. 문화복지란?
2. 청소년 문화 현상
2. 청소년 문화 현상의 원인
III. 결론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견해 및 제언
2. 청소년 인터넷 문화에 대한 제언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선정관련
1. 주제선정배경
최근 들어 청소년 대상의 문화프로그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는 문화예술은 주로 관람이다. 2011년 인터파크 공연 예매자 140만 명을 대상으로 연령별로 나누어 보면 20대와 30대의 비중이 70%를 차지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5일제수업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갖게 된 청소년들이 어떠한 문화 활동을 하는가에 대한 조사를 하여 결과를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문화적 현상과 원인에 대한 본인의 견해 및 시각을 언급하고자 한다.
2. 조사과정
본 보고서에서 연구한 방법은 대부분 문헌조사와 사례조사 등으로 수행하였다. 참고문헌은 각종 학술논문, 보고서, 통계자료 등을 이용하였고 이외에 인터넷 검색이나 문헌 조서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II. 본론
1. 문화복지란?
현재 우리가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문화복지라는 용어는 어휘의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1980년대 초반 선진한국을 외치며 복지를 강조하던 제5공화국에서 문화정책을 복지정책차원으로 일부 다루기 시작하면서 국민의 삶을 증진하기 위해 향유자 중심의 문화정책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화와 복지의 합성어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복지 어휘의 시발점은 문민정부 시기 세계화에 대한 방안으로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2. 청소년 문화 현상
1) 최근 청소년 문화 행태
2011년 여성가족부가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 의뢰하여 연구한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독서인구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조사에 의한 급변하는 정보통신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매체이용 문화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어떠한 사회적/문화적 환경에 놓여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여성가족부(2012), 청소년 독서인구비율 조사결과, 보도자료
이병준(2012), 주5일 수업제와 청소년 문화예술 교육활성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찬용(2005), 한국게임산업의 구조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최항섭(2013), 신상털기로 본 한국의 인터넷 문화, 한국인터넷 자율정책 기구
김정훈(2012), 권기헌, 문상, 근거중심 인터넷 문화정책 설계, 한국정책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