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4.04.05
- 최종 저작일
- 2013.10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CASE STUDY 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Case Study
Ⅳ. 결론
본문내용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이란 ?
정신분열증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뇌질환.
∂ autistic thinking (자폐적 사고)
∂ association disorder (연관성 결여)
∂ ambivalance (양가감정)
∂ affect disorder (정서표현을 잘 못함)
∂ attention disorder (주의집중 장애)
∂ activity disorder (활동 장애)
유병률 : 인구 100명당 약 1명이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으며 총 250만명의 환자가 있다.
질병 심각성 : 정신분열병 환자의 95%는 만성화되고 예후가 좋지 않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20~50%가 자살시도를 하고 이 중 9~13%가 자살로 생을 끝낸 다.
사회적 문제 : 정신질환치료비의 75%이상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해 사용된다. (→조기발병이 많 고 만성질환자가 많으므로)
전체 입원병상의 25%를 정신분열병 환자가 점유한다.
치료 효과 : 정신분열병 환자의 25%는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 투여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다.
<중 략>
- 한 시간에 한 번씩 물 한 컵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 식사 후 30분 뒤에 화장실을 가도록 격려하였다.
- 병실 복도를 1시간 이상 걷도록 격려하였다.
- 섬유소가 많은 음식에 대해 교육하였다.
고섬유식은 변을 부드럽게 하고, 변의 양을 늘리기 때문에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좋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전 곡류, 두류, 신선한 과일, 해조류 등이 있는데, 폐쇄병동에 있는 대상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환자에게 병동에서 먹을 수 있는 과일들에 대해 교육하고, 매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두유의 섭취를 격려하고, 보호자를 통하여 이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 병동에서 PRN으로 처방난 변비약 dupalac을 하루 두 번 복용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투약 시간을 교육하고, 지지 하였다.
참고 자료
최신 정신건강 간호학 총론(정담미디어) 도복늠 외 공저
최신 정신건강 간호학 각론(정담미디어) 도복늠 외 공저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