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Carroll의 완전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
1) 학교학습의 5대 변인
2) Carroll의 수업모형의 특징
3) Carroll의 수업모형의 한계와 의의
3. Bloom의 수업 모형
1) 완전학습 (mastery learning)?
2) Bloom의 완전 학습 방안
3) 완전학습을 위한 수업절차
4) 완전학습이론의 교육적 의의
4. Ausubel의 수업 모형
1) 학습 모형의 단계
2) 의의 및 한계
5. 한국행동과학연구소의 모형
1) 완전학습을 위한 수업모형과 자료활용
2) 각 단계별 특징
3) 이론의 효과
본문내용
- 수업목표의 설정 (instructional goals)
교육이 궁극적으로 달성해야 할 가치 실현이 인간행동을 포함, 컴퓨터의 입력장치에 해당.
수업결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개념이나 기술에 대한 진술로 수업내용과 절차를 선정하고 조직하는데 도움을 주며 수업성과를 평가하는 기준
수업목표는 구체적으로 세분화되고 명세적으로 진술되어야 함
<중 략>
- Claser의 수업모형의 특징
① 출발점 행동의 진단을 수업과정의 한 단계 이상으로 매우 중요시 하고있다.
② 수업과정을 계속적인 의사결정과 그것의 수정과정으로 보고 있다.
③ 특정의 교과나 단원에 관계없이 일반화될 수 있도록 수업과정을 객관화, 표준화시켰다.
④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각 단계간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⑤ 교수 공학적 접근을 전제로 학습자들 간의 개인차를 반영시킬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