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것 작성하여 만들어서 A학점 받은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목차
1.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발전
1) 일제시대 이전
2) 일제시대의 지역사회복지
3)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4) 최근의 경향
2.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발전
1) 지역사회복지의 기원
2) 자선조직협회(COS)
3) 인보관(Settlement house) 활동
4)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발전(1980년대 후반~현재)
3.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발전
1) 전시모금기구(War Chests)
2) 사회복지기관협의회
3) 인보관
4) 정부의 개입
5) 1970년대 후반
6) 비영리기관의 활성화
본문내용
1) 일제시대 이전
-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활동으로 촌락단위의 민속적인 협동관행과 국가나 군, 현 단위의 행정적인 복지사업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 민속적이며 촌락 단위의 복지활동은 두레, 계, 품앗이, 향약, 사창, 공굴, 부근, 향도, 고지, 부조 등이다.
- 정부에 의한 인보제도는 애민육조의 복지시책(양로, 고아돌봄, 애상, 진궁, 관질, 구재)과 국가 단위의 상설 복지시설기구인 오가통, 의창, 상평창, 진휼청, 동서대비원, 활인서, 혜민서, 기노소 등이 있었다.
2) 일제시대의 지역사회복지
- 배경 : 식민정책의 일부인 시혜 또는 자선으로서 우리 민족의 충성을 얻으려는 정치적 의미가 컸음, 일본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한국 농업을 식민지화하려고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산계획 등을 실시하였고 이 시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자생복지활동은 위축되거나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 근대적 의미의 지역사회복지사업이 싹트기 시작한 시기이다.
- 비록 관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사회복지지도기관이 많이 생겨났고 사업이 실시되었으며, 조선구호령(공공부조의 기본이 된 법)이 실시되었다. 이외에도 공설일용품 시장, 경성 부립도서관, 방면사업 등 구빈 및 방빈사업을 위한 시설이 갖추어졌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