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Introduction)
1) 실험목적
2) 실험을 위해 필수 배경이론, 개념
3) 실험의 가설 및 근거
2.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실험 도구 및 재료
2) 실험 절차와 방법
3. 실험결과(Result)
1) 측정 결과의 도식적 표현
2) 측정 결과의 설명
4. 토론(Discussion)
1) 실험의 가설과 일치 여부
2) 실험 측정 결과의 해석 및
5. 결론(Conclusion)
6.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1.Introduction.
(1)Purpose of this Lab
First order transient response를 익히고 RC, RL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time constant에 대한 개념을 습득한다.
(2)Essential Backgrounds for this Lab
지금까지 우리는 저항 회로 (resistive circuit)의 분석을 했다. 하지만 커패시터(capacitor),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는 회로는 기존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풀기에는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회로에서 저항은 전압, 전류와의 관계가 단순히 각각의 비율로 정의되었지만 커패시터는 전압의 변화량과 관계가 있고,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량에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1)RC Circuit (RC 회로)
-스위치가 닫히기 직전 (t=0-)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저항에는 전압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초기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0으로 가정한다면 이 때의 VR(0-)는 식 (1)과 같다.
<중 략>
function generator와 inductor로 좁혀진다. 여기서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임피던스이다. function generator의 내부저항인 임피던스와 교류전압에서 인덕터에 생기는 임피던스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해 예측했던 실험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RL회로의 시상수의 단위는 매우 작기 때문에(ns) 함수발생기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작은 오차로 인해 RL회로에서의 시상수의 변화는 매우 크고 이로인한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 전자전기컴퓨터 설계실험1 10주차 교안, 2013
· 회로이론 Basic Engineering Circuit Analysis 10th Edition, J. David Irwin & R. Mark Lelms, 2012
· www.minddesk.kr/best.php?id=133372(함수발생기 내부저항)
· http://ko.wikipedia.org/wiki/%ED%95%A8%EC%88%98_%EB%B0%9C%EC%83%9D%EA%B8%B0(함수발생기 위키피디아)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915&docId=1619821&mobile&categoryId=2915(함수발생기 네이버백과사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