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디즘이란 원래 자동차왕 포드(Henry Ford, 1863~1947)가 창안한 대량생산 방식이나 그것을 지지하고 있는 경영이념을 가리키지만, 조정이론의 문맥에서는 거기에서 전환하여 전후의 선진국가에서 나타난 대량생산-대량소비형의 국민적인 경제성장 체제를 말한다.
조절이론의 출발점은 ''위기와 모순이 가득한 자본주의가 어떻게 이를 극복하면서 일정 기간 동안 규칙적이고 항상적으로 자기를 재생산해 가는가''에 관한 의문이었다. 마르크스 정치경제학의 한 분야인 조절이론은 ''특정 시대, 특정 패턴의 자본주의 경제(축적체제)가 가능한 것은 그것을 사회적으로 조절하는 제도적 앙상블(조절양식)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면서 축적체제와 조절양식간의 관계를 다양한 각도로 밝힌다.
조절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근대사회의 위기는 ''모순적인 자본주의적 축적활동을 안정된 사회적 관계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사회 제도적 조절 메커니즘의 약화 내지 이완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시 말해 자본주의적 경제활동을 구성하는 노동관계, 상품소비관계, 국민경제의 재생산구조가 기존의 사회제도적 장치로 더 이상 조절될 수 없게 되면서 그에 기반한 근대사회 전반의 제도적인 정합성이 허물어지는 상황이 곧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위기라는 것이다.
위기의 증후군은 경제사회활동의 여러 부문에서 확인될 수 있지만, ‘포스트포디즘’이란 개념으로 그런 현상을 바라본다.
포스트포디즘이 경제영역을 넘어 사회 정치 문화 영역까지 확산되면서 사회전반이 국민국가의 사회제도로는 안정되게 조절될 수 없는 ‘탈조절화(Deregularization)’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국가의 조절양식 약화는 시장과 같은 비국가부문이나 초국적 기업과 같은 초국경적인 부문이 국가의 조절범주를 넘어서 축적활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현상, 즉 ‘조절의 탈국가화’에 의해 촉진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