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려가요, 속요 속의 여성화자 에 대하여 연구순정과 퇴폐를 중심으로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연구 기술한 논문입니다.
논문의 체계적인 목차나 막대한 분량의 참고자료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주 잘 구성된 논문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리라 믿습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 시대적 배경과 여성화자
Ⅲ. 순정과 퇴폐의 부각
Ⅲ.1. 순정의 이별소재
1) 서경별곡
2)동동
3) 이상곡
Ⅲ.2. 퇴폐적인 성
1) 만전춘별사
2) 쌍화점
Ⅳ. 순정과 퇴폐 공존
Ⅴ.나오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들어가며
속요란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 여러 전적에 실려 전해지는 고려시대의 노래 가운데 경기체가를 제외한 우리말로 된 서정가요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속요를 포괄적 개념어로 사용할 때, 거기에는 당대에 존재했던 많은 이질적 장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장르가 각각 그 나름의 특수성을 간직한 채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독자적인 장르경계를 넘어서서 장르상호간에 충돌 교섭 침투 혼합 전환 등 다양함을 보인다. 여기에 가장 보편적이고 기층적인 장르가 민요이다. 민요 그 자체가 향가 경기체가 시조 등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든지, 민요에서 그들 장르가 형성되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민요의 구조가 다양하고 보편적이어서 그 율격이나 형성에 심층구조를 이루어 그들 역사적 장르를 배태할 수 있는 무한한 내재적 능력을 간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속요는 그 내용이 대부분 비리(鄙俚)한데 이는 속요가 민중의 삶과 그것에서 유로(流露)된 애환을 바탕으로 해서 생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사실 속요의 내용적 특성을 여러 측면에서 규정할 수 있지만 가장 뚜렷한 것 중의 하나가 남녀간의 애욕을 노래한 점과 이런 것에서 풍기는 비리함, 즉 비속성일 것이다.
참고 자료
국어국문학회,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김대행,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김선봉, 「고려속요의 현실체험의 시적변용」, 경북대대학원, 1981.
김승찬외 1인,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김종길, 「고려속요에 나타난 애정관」, 세종대교육대학원, 1984.
김치환, 「동동연구」, 호남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김쾌덕, 『고려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8.
박노준,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박화성, 「동동연구」-서정성의 전개와 유기적 연관성을 중심으로-, 경남대대학원 석사학 위, 1986.
임기중,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경운출판사, 1993.
윤영옥, 「고려속요에 나타난 이별의 양상과 그 변용」, 영남대교육대학원, 1984.
정병욱,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