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설계이론과 체제적 접근의 조사와 연구 리포트A+
- 최초 등록일
- 2014.03.11
- 최종 저작일
- 2014.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4,900원
소개글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1. 본 리포트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교수설계 이론
1) 교수설계와 교수설계 이론
2) 교수설계 이론의 특징
3) 교수설계의 요인
2. 체제적 접근
1) 체제적 접근의 필요성
2) 교수설계 모형의 개념과 특징
본문내용
교수설계는 특정의 학습내용과 특정의 학습자가 주어졌을 때 기대하는 학습자의 바람직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적의 교수방법이 무엇인가를 결정해 나가는 과정 또는 절차를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최적의 교수방법’의 결정은 즉흥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연구 및 경험을 통해 축적된 명백한 지침 및 원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교수설계 이론’은 이러한 ‘명백한 지침 및 원리’를 제공하는 이론으로, ‘잘 배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교수설계를 위한 명백한 지침을 제공하는 교수설계 이론은 오랜 연구와 경험을 통해 제안되고 지속적으로 정교화 되어 왔다. 초기의 교수설계 이론의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학자로는 스키너, 브루너, 그리고 오스벨 등을 꼽을 수 있다. 스키너는 교수와 학습의 차이를 구분하고 행동주의적 입장에서 경험적 교수이론을 제공하여 교수활동을 설명하고 처방하는 원리를 제공했으며, 브루너와 오스벨은 인지주의적 입장에서 인지구조에 관한 교수이론을 제시했다. 글레이저와 가네 등은 초기 교수이론가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교수설계 이론의 성립에 크게 기여했다.
2) 교수설계 이론의 특징
교수설계 이론은 학습자로 하여금 바람직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교수방법을 제시해 주는 이론으로, 교수-학습을 교육 실제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처방적인 지식 체계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 자료
박성익 외(2011).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 교육과학사
박숙희, 염명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 학지사
박인우 외(2009). 테크놀로지 기반 첨단 미래학교 연구 최종보고서
백영균 외(2010).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 학지사
윤정일 외(2002). 신교육의 이해. 서울 : 학지사
이인숙 외(2010). 교육공학·교육방법. 서울 : 문음사
천호성(2008). 수업 분석의 방법과 실제. 서울 : 학지사
교육인적자원부(2007).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계획(보도자료 2007. 3. 22)
한국교육공학회(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 교육과학사
변영계(2005).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서울 : 학지사
성태제, 시기자(2006). 연구방법론. 서울 : 학지사
손미(1999). 자원기반학습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및 정보활용능력 신장. 초등교육연구, 13(1)
고재희(2008). 통합적 접근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 교육과학사
김영환(1994). 과제분석과 계열화를 위한 단순화 조건법. 교육공학연구, 9(1)
나일주(2007). 교육공학 관련 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
노경희 외(2011). 온라인 스마트교육 체제 구현을 위한 온라인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자료 RM 2011-77
민혜리(2008). 성공적인 대학수업을 위한 교수법 가이드. 서울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