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다원적기능과 한국농업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4.03.08
- 최종 저작일
- 2013.11
- 36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한국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 한국농업의 문제점
그문제점을 극복할수 있는 생산자척측면과 정부측면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2. 농업의 다원적 기능
3. 한국농업의 문제점
4. 발전방안
5.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요즘 한구사회는 명품캠핑족들에 힘입어 아웃도어 시장이 발달하고 있다. 즉 사람들은 점점 웰빙을 원하고 있으며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식재료도 과거의 단지 양위주의 식습관에서 친환경 식재료를 원하고 있다. 이런 자연주의는 방송에서도 나타나는데 ‘1박 2일’, ‘청춘불패’, ‘패밀리가 떴다’, 요즘 방영되고 있는 ‘아빠 어디가?’ 등 모두 자연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또한 우리 산업응용경제학과에서도 농업은 국가적 차원을 띠어 넘어 인류적 차원에서의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넓게는 이런 농업의 중요성과 좁게는 우리나라의 농업의 특성과 문제점 해결방안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농업의 다원적 기능
농업의 여러 이로운 기능들을 종합하되, 그 기능들이 우리들의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그 영향을 끼치는 기능들을 일컬어 "농업의 다원적 기능" 이라고 말하고 있다.
<중 략>
환경보전적인 농업정책, 개발정책을 펴야 한다. 무분별한 개발(리조트 시설, 골프장 시설, 공장시설)로 농지의 물 담수기능이 저하되어 홍수피해가 더 커지고 있다. 수입농산물이 국산농산물로 둔갑하지 못하도록 원산지에 대한 규정을 강화하고, 검역을 철저히 하여 혼탁한 경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⑥도·농간의 균형적 발전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보장을 위해서는 농업소득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농업이 발전해야한다. 그리고 국민경제가 추구해야 할 규범은 효율성(efficiency)과 형평성(equity)이다. 아무리 경제가 높은 경제성장을 하였더라도 성장의 혜택이 골고루 분배되지 않으면 성장의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자유무역의 결과 비농업 부문에서 성장이 이루어지더라도 농업부문이 피폐해져 농가의 소득이 비농업 부문에 비해 현저히 낮다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농촌과 도시가 균형적으로 발전하여 진정한 복지 국가를 달성하려면 농업의 발전은 필수적이다.
참고 자료
시사제주 제주시, 후계농업경영인 15명 추가 '추천' 고영태기자
농민신문 도·농 소득격차 개선 ‘게걸음’ 오영채기자
네이버 뉴스 한미 FTA 농업피해 최소화, '품질 고급화' 정책 1순위 김민권기자
네이버뉴스 ‘웰빙’·핵가족화등 영향 식생활 환경 변화 장택동기자(서울신문사)
네이버블로그 ?선혈서가의 소소한 블로그?
네이버블로그 기록자의 눈으로 보는 세상
네이버블로그 언제나 시니는 맑음
네이버블로그 꿈꾸는곳
네이버블로그 ADANTE ADANTE
김완배 교수, UR이후 한국 농정의 방향과 전략
김동희, 김석훈, 장원석 외, 국제화시대의 농업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