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고붕대 건조>
석고재질이나 합성재질 모두 마를 때에는 열을 발산하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열감이 느껴질 수 있음을 교육한다. 석고붕대가 마르는 동안 담요나 수건을 덮지 않도록 한다. 대신 여러 장의 타월을 석고 붕대 밑에 두어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석고가 젖어 있을 때에는 대상자가 한기를 느껴 체온이 저하될 수 있다. 젖은 석고붕대 주변에 더운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여 적절히 보온을 제공한다.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빠르게 건조시키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석고붕대에 금이 가거나 석고 아래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정>
- 신경혈관사정
순환기능-냉감, 온감, 석고붕대 아래쪽의 맥박, 모세혈관 재충혈
신경기능-원위손가락, 발가락의 움직임, 석고붕대 아래쪽의 가벼운 접촉, 감각의 변화
무감각과 저림증이 있을 때에는 보고하도록 대상자를 교육한다.
- 통증에 대한 사정
규칙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대상자에게 통증의 정도를 표현하도록 권유한다.
<석고붕대를 적용한 대상자의 중재>
- 부종 완화, 예방
.석고붕대 한 후 24~48시간 동안 석고붕대를 적용한 사지 밑에 베개를 대어 심장보다 높인다.
.팔에 적용한 경우 팔걸이를 한 다음 팔걸이를 정맥수액대에 부착하여 올려준다. 팔꿈치, 손목, 손 전체를 지지해야 하며 손가락을 팔꿈치보다 높인다.
.다리에 원통형 석고붕대를 적용한 경우 수족(footdrop) 예방 위해 발목을 90도로 굴곡시킨 상태에서 대상자의 발에 부목을 대주거나 지지해준다.
.순환 - 석고붕대 주위에 얼음주머니. 대상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 운동.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