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을 통한 신분상승. 능력주의의 기회인가 불평등재생산인가? - 능력주의의 관점에서
- 최초 등록일
- 2014.02.23
- 최종 저작일
- 2013.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능력주의란 무엇인가?
2. 능력주의를 보는 관점
(1) 기능론적 접근
(2) 갈등론적 접근
3. 평등 실현 의미에서의 능력주의
(1) 계급 제도의 존속
(2) 대립적 성격의 평등 이념
4. 한국 사회에서 능력주의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능력주의의 시각
(1) 학벌주의와 교육제도
(2) 서울-수도권 중심주의와 지방 차별
5. 능력주의의 문제점
(1) 경쟁주의의 폐해
(2) 보편적 기준의 문제
(3) 제대로 된 기회균등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관한 문제
6. 교육에서의 능력주의
(1) 능력주의 교육을 지향한 미국 부시 대통령의 교육정책
(2) 교육에 있어서의 능력주의는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
7. 교육에서의 능력주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능력주의란 무엇인가?
능력주의란 업적주의라는 말로도 표현되며 경제적 부, 사회적 지위, 정치적 권력과 같은 희소한 가치는 출생으로 대물림되는 신분, 성별, 출신 지역, 인종과 같은 귀속 지위로 인하여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기 노력과 능력의 결과로 성취하는 업적에 비례하여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리를 지지하는 입장이다. 즉 사회적 재화나 가치, 또는 생애 기회의 분배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 재능, 성품, 노력 등에 의해 주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적주의가 관철되는 사회라면 부와 사회적 존경,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거대 기업의 대표이사 자리는 귀속 지위가 아닌 한 개인이 성취한 탁월한 업적의 결과로 주어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지위가 비루하고 경제적 소득이 보잘것없다면, 이 역시 자신의 노력과 능력 부족에 대해 사회가 돌려주는 응당한 대가로 간주된다.
2. 능력주의를 보는 관점
(1) 기능론적 접근
교육이 능력주의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능력에 따른 사회이동이 가능해졌으며, 따라서 사회집단간의 불평등도 완화되었다는 주장이다.
(2) 갈등론적 접근
1) 교육의 기회는 전반적으로 확대되었지만 실제로는 계층 간의 교육 불평등은 별로 완화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교육 획득이 능력이나 실력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학력 증명 효과라는 상징적인 의미로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학력을 보다 많이 획득하기 위한 지위집단간의 지위경쟁에서 지배계층이 항상 유리한 차지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또 교육기회가 확대되면서 교육은 어느 정도 평등화가 이루어졌으나 사회적 불평등 구조에는 별로 변함이 없다고 주장한다. 직업지위나 소득의 결정이 교육수준의 질이나 능력에 따라 합리적으로 결정되기보다는 학력 증명을 바탕으로 하여 직업의 빈자리를 위에서부터 메꾸는 식의 취업경쟁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구갑우 외, 『좌우파사전』,위즈덤하우스, 2010.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