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A+ 임부간호(Preterm labor 조기진통)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4.02.19
- 최종 저작일
- 2012.10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700원
소개글
임부간호 사례연구를 Preterm labor 조기진통 산모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습니다.
간호력을 매우 자세히 사정하였고 사례연구를 하면서 매일 빠짐없이 기록하여
간호과정도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에 맞춰서
교수님께 A+받았구요 참고자료로 이용하세요^^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력
5.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
6. 느낀점
본문내용
현재 산과 영역에서 가장 많은 발전을 하였으면서도 더욱 발전을 해야 할 분야가 영화 이환 및 사망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조기분만에 관한 것이다(송태복, 1991). 근래에 이르러 자궁 내 진단 방법의 발전, 각종 생화학 및 내분비 검사법의 향상, 분만 방법의 개선, 신생아 소생술의 발전 등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과 국가경제 개발에 의한 생활수준의 향상 및 산전관리에 관한 지식의 보급으로 저체중 출생아의 발생빈도가 감소되고, 신생아 사망률의 감소를 가져오는 등 모성 보건 분야의 큰 발전을 보이고 있다(이상복, 2002). 그러나 조기진통과 조기분만은 아직도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미국에서 주산기 사망률의 60~80%가 조기분만으로 인한 주산기 사망과 이환이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1985).
우리나라의 경우 홍창의(1993)에 의하면 미숙아의 빈도는 사회 경제적 여건과 출생 전 간호 등에 따라 다르지만 4~8% 정도이며, 임순옥(1983)의 연구에 의하면 연구 대상 분만 산부의 13.2%가 조산을 경험했었다는 보고가 있다.
조기분만은 임신 20주 이후 37주 미만, 혹은 태아체중이 2,500gm 미만 일 때 분만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조기 분만된 태아는 과소체중 자체뿐만 아니라 불완전한 폐성숙, 뇌출혈 및 저산소증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초래(Hohman & Bakketeig, 1984 : 송태복, 1991) 될 수 있으므로 신생아의 예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체중이 정상 이하인 태아 또는 신생아는 사망할 가능성이 높으며, 생존하더라도 신체적 또는 지적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미숙아로 태어난 아이가 살아가는 삶의 질(quality)도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점이다(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참고 자료
이경혜 외, 여성건강간호학2, 신광출판사, 2009
김금순 외,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2010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1, 수문사, 2009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0
병동 매뉴얼집
킴스온라인, 드러그인포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사 이은옥 외 2002년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사 서울대학교편 2002년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최영희 외 1999년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제7판) 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 2003년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도서출판 한우리 김선애 외 2003년
Mosby′s medical, nursing allied healfh Dictionary 현문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2001년
아동간호학Ⅱ 군자출판사 김희숙 외 2003년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년
아동간호임상매뉴얼 이화자 외 수문사 2001년
provider.healthkorea.net/hi/Disease/hanglelist 질병정보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