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rdv - 현대건축의 이론과 비평
- 최초 등록일
- 2014.02.19
- 최종 저작일
- 2013.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인위적인 랜드스케이프
2. 디자인 사상
3. 디자인 방법
4. 디자인 특징
본문내용
1,인위적인 랜드스케이프
랜드스케이프의 사전적 정의는 ‘경관-눈에 띄는 경치의 특색, 눈으로 보았을 때(특히 회화적 견지에서) 한 번의 조망으로 이해 될 수 있는 모든 사물을 뜻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자연젹 요소와 인공적 요소가 있다. 생명이 없는 흙, 돌, 물 등과 생명력을 지닌 자연 식 생물 등은 자연적 요소에 속하고 시멘트나 콘크리트, 벽돌, 다듬은 돌, 철재 등 옥외 인공시설용 재료는 인공적 요소에 속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우리 눈에 비치는 7가지 인자로 구분되어 인지되며 이들은 복잡한 상태로 우리에게 판단 기준을 마련해준다. 1)위치, 2)크기, 3) 색과 색감, 4) 형태, 5) 선, 6) 질감, 7)농담으로 이 요소들이 다양한 경관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시켜 주는 인자가 된다.’ 이다.
현대의 도시 상황은 다 중심적이고 위계가 없는 그물 같은 망이 펼쳐지는 것처럼 변화하였고, 이동성, 접근성이 증가하여 하부구조가 더욱 더 중요시 되었으며, 도시를 보는 관점도 형태 자체에서 그 사이의 역동적인 움직임에 대한 관심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고려해 볼 때, 랜드스케이프 건축에서 보이는 가장 의미 있는 변화는 랜드스케이프의 의미를 기존의 ‘보는 그림’에서 물체나 공간을 조직하는 기능적인 매트릭스로서의 ‘면’으로 확장하여 도시, 공간을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연속된 면은 조형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도시안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중요한 요소로 포함하여 움직임과 관련된 이벤트로 가득 찬 공간이 될 수 있게 된다.
랜드스케이프는 도시와 자연의 물리적인 형태와 시각적인 측면뿐이 아니라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환경 전체를 포함하여 가시적 실체로서의 환경이 아닌 인간의 적극적인 의지에 의해 표상된 이미지로서의 체험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공간과 도시와의 관계, 공간과 자연에 대한 관계에 있어 랜드스케이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더 이상 공간과 땅의 전통적인 개념-구분된, 고정된, 수평적인, 한정된, 등질의 의존하지 않게 되었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