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본론
1. 댓글의 정의
2. 댓글의 시작과 확산
3. 댓글문화의 이론적 기반과 그에 대한 사례
1)의제 설정이론
2) 댓글의 확산으로 인한 현상의 예
4. 올바른 댓글 문화를 이루기 위한 해결책
[3]결론
1. 맺음말
본문내용
서론
1.주제 선정 이유
현대 미디어에서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체인 인터넷은 세계최고의 인터넷 보급률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평소 인터넷을 매우 빈번히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 중의 한사람으로서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여러 가지 문제점 중에서 특히 요즘 들어 이슈가 되고 있는 인터넷 댓글 문화를 짚어 보려고 한다. 본 1조원들은 익명성을 보장으로 맘 편히 써지고 있는 악플 들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안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본론
1. 댓글의 정의
1)댓글 우리가 꼬리말이라고 쓰는, 하나의 글 하단에 있는 한줄에서 최대 서너줄 밖에 되지 않는 짧은글을 말한다. 즉, 한 사람이 어떤 의견을 게시판에 올리면 이를 본 다른 사람이 자신의 의견을 붙이는데 이런 글을 댓글(Reply)이라고 한다.
2)덧글
댓글 가운데에서도 본문 내용을 전문적으로 또는 보다 심층적으로 덧붙여서 보다 길게 쓴글이나, Re: 가 붙어있고, 본문과 같이 나오지 않고 따로따로 볼 수 있는 글을 포함하여 ‘덧붙인 글’이다.
3)답글 분량 문제가 아닌, 글쓴이가 특정인물에게 쓴 글을 그 특정인이 답장하는 글이거나, 어떠한 질문에 답하는 글이다.
4)악플 다른 사람이 올린 글에 대하여 비방하거나 험담하는 내용을 담아서 올린 댓글을 말한다.
5)댓글 저널리즘:
인터넷 기사나 글 등의 어느 사안에 따라서는 한 가지 주제를 놓고 워낙 많은 댓글이 붙게 된다. 댓글 저널리즘이란 이런 현상과 관련하여 최근에 생겨난 신조어 이다. 네티즌의 글이 게시판에 오르고, 이에 다른 네티즌이 댓 글로 반응하고 글 내용의 '옥석'이 가려지면서 여론화되는 현상, 이를 댓글 저널리즘 이라 한다.
참고자료
· 정동규(2005).<인터넷과 참여민주주의: 이론과 사례>.한국학술정보
· 구본권(2005).<인터넷에서는 무엇이 뉴스가 되나: 인터넷 언론의 게이트키핑 구 조>.커뮤니케이션북스
· 박성호(2005).<인터넷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 인터넷 신문, 인터넷 방송, 인터넷 광고, 인터넷 홍보>.커뮤니케이션북스
· 이기형 (2004).< 담론들의 '공론장'인가 '논쟁의 게토'인가?>.한국언론재단
· 송관호・이종일(2005).<인터넷의 두 얼굴>.진한엠엔비
· 원우현(2002).<인터넷 커뮤니케이션>.博英社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