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4대 사화의 발생과 영향
1. 사화의 의미
2. 무오사화
3. 갑자사화
4. 기묘사화
5. 을사사화
6. 사화의 결과
Ⅲ. 평가와 시사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조선은 절대군주인 왕이 다스리는 왕조국가이다. 형식상으로 보면 왕이 모든 권력의 정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면면을 들여다보면 타왕조에 비해서 왕권의 힘이 미미했다고 볼 수도 있다. 조선에는 왕실뿐 아니라 정치적, 학문적 견해를 달리하는 다른 정치세력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조선 전기는 권력지향적인 정변이 누적되면서 개혁성향이 점차 퇴색하고 특권계층만 늘어가는 단계였다. 그 중 계유정난을 시작으로 일명 훈구파라고 불리는 공신들은 왕조차 견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성장했다. 성종은 이들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이라는 또 다른 세력을 정계로 불러들인다. 그들은 3사의 요직을 차지하여 청렴함과 원칙적인 행동으로 대를 이어나갔고, 조광조 등의 정치가들은 개혁을 시도하기도 하였지만 기존 정치세력에 비해 기반이 터없이 약했던 사림은 사화라는 미명 하에 수많은 박해를 당하게된다. 하지만 김종직을 필두로하여 조광조등의 학풍을 이어받은 사림들의 생명력은 끈질기게 이어져 내려와 선조시대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사림들의 정치참여가 이루어진다.
본 보고서에서는 훈구파와 사림파의 형성과정에서 이들의 대립과 사림파의 집권으로 귀결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조선 중기 정치과정의 모습과 의의를 알아보고자한다.
Ⅱ. 4대 사화의 발생과 영향
1. 사화
1) 사화의 의미
사림은 고려에 충절과 의리를 지키기 위해 조선의 창업을 거부하고 은둔한 사대부들이 학문을 닦고 후학을 가르치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새 왕조의 개창에 저항하고 생업을 위한 최소한의 수단으로 시작한 학문과 교육은 훗날 커다란 역사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의 제자들이 조선의 개국이나 단종을 몰아내고 세조를 옹립하는 등 반정을 통해 형성된 공신들의 집단인 훈구파와 대립되는 세력인 사림파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립은 연산군때의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때의 기모사화, 명종떄의 을사사화를 촉발시켜 많은 사림들이 죽음과 귀양을 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김범, 「사화와 반정의 시대」, 한영문화사, 2007.
김돈, 「뿌리깊은 한국사」, 솔, 2002.
신동준, 「연산군을 위한 변명」, 지식산업사, 2003.
신병주,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랜덤하우스, 2003.
이근호, 「이야기 조선왕조사」, 청아출판사, 2005.
이덕일, 「살아있는 한국사」, 청아문화사, 2003.
이덕일,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석필, 1998.
이덕일, 「조선선비 살해사건」, 다산초당, 2006
이종항, 「한국정치사」, 박영사, 1984.
이태진,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2003.
정재준, 「통합한국사」, 고시동네, 2007.
지두환, 「명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
표정훈, 「HD 역사스페셜」, 효형출판, 2007.
「한국사 28」, 국사편찬위원회, 1996.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12」, 동아출판사, 1992.
노우종, “조선조 정치과정 연구 : 사화와 당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2004.
정병옥, “조선전기 사화와 정치엘리트의 성격 :「거창신씨세보」에 나타난 사화 연루자의 사례연구”, 동아대교육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