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이란 비소?안티모니?납?수은?카드뮴?크로뮴?주석?아연?바륨?비스무트?니켈?코발트?망가니즈?바나듐?셀레늄 등 주기율표 상의 아래쪽에 주로 위치하고 있는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말한다. 식품중의 유해성 금속은 비소와 중금속을 말하는데 이 유해성 금속들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식품을 분해하여 최대한 무기물만 남도록 한 후 각 정량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번 실험은 중금속 시험과 원자흡광광도법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실험 원리 및 실험방법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아래 표에서와 같이 처리한 것을 시료로 한다. 다만, 그 이외의 식품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가식부를 시험부위로 한다.
농산물 검 체
쌀, 밀 도정한 것
옥수수 외피, 수염 및 이삭 속을 제거한 것
대두, 팥 깍지를 제거한 것
감자, 고구마, 당근 물로 가볍게 씻어 흙을 제거한 것
배추 바깥 변질 잎 및 심 및 뿌리를 제거한 것
무 물로 가볍게 씻어 흙을 제거하고 무청 및 잔뿌리를 제거한 것
파, 마늘, 부추, 양파 겉껍질 및 뿌리를 제거한 것
시금치 뿌리 및 변질 잎을 제거한 것
오이 꼭지를 제거한 것
고추 받침을 제거한 것
참깨 종자
감 받침 및 씨를 제거한 것
포도 꼭지를 제거한 것
오렌지, 키위, 바나나 껍질을 제거한 것
망고 껍질을 제거하고 씨를 제거한 것
- 시험용액의 조제 (습식분해법)
황산-질산법을 이용한 납(Pb)의 정량
이 방법은 Zn, Cd, Cr, Sn, Cu, As 등의 시험에 적합한 시료(건조물로서 5~20 g에 상당하는 양)를 분해플라스크에 취해 물 50~70 mL, 질산 10~40 mL를 넣고 혼합하여 방치한다. 다음에 조용히 가열하여 격렬한 반응이 그치면 식힌 다음 황산 5~20 mL를 넣고 다시 조용히 가열한다. 내용물이 암색이 되기 시작하면 질산 2~3 mL씩을 추가하면서 가열을 계속하여 내용물이 미황색~무색이 되었을 때 분해가 끝난 것으로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