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스타의 역사
2. 파스타
3. 파스타 만들기
4. 생면 파스타의 기본 배합
5. 파스타 알 덴테로 삶기
본문내용
파스타가 언제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나 가장 보편적인 주장은 ‘동반견문록’에 마르코 폴로가 원나라 황제인 쿠빌라이칸의 궁에서 파스타를 먹었다는 기록을 통해 1295년경 이탈리아로 돌아 올 때 중국(중국은 기원전 3000년경에 국수형태의 음식을 먹음)에서 가지고 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마르코 폴로가 아직 동방에 머물러 있었던 1279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폰지오 바스토네라는 사람이 마카로니가 가득찬 나무상자를 유산으로 남긴 기록이 있고, 기원전 4세기에 이탈리아 에투르칸족의 무덤에서 파스타를 만들었던 기구와 파스타 조각이 발굴되었다.
고대 로마인들은 물과 밀가루로 만든 간단한 반죽으로 리가네(Ligane)라고 불리는 음식을 만들어 먹었는데, 이 시대의 유명한 미식가인 아피키우스가 자신의 요리책에 이 요리를 언급한 바 있다. 또한 1세기에 마르티노 코르노가 쓴 ‘De Arte Coquinaria Per Vermicelli E Maccaroni Siciliani’라는 책에는 최초로 파스타의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다.
2. 파스타
파스타의 어원은 ‘Impastare’로 이태리어에서 온 것으로, 밀가루를 반죽해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라서 삶아낸 각종 음식을 뜻한다. 기원전 3000년경 면의 발상지인 중국에서 처음 만들었고 1295년쯤 마르코폴로가 이태리로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로마시대에 밀가루 반죽을 좀더 먹기 쉽게 만들기 위해 잘라서 굽다가 기술이 발달하여 국수처럼 가늘게 잘라 먹었다는 설도 있다.
파스타는 우리 식으로 따지면 밥에 해당하는 요리이지만 주된 식사라기보다 식욕을 돋우는 역할을 하며 쫄깃한 감촉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특히 생선이나 해산물, 육류, 달걀, 치즈, 채소, 올리브유 등 그 어떤 재료로 만든 소스와도 잘 어울린다.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