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를 통한 문화콘텐츠 발전방안에 대해
- 최초 등록일
- 2014.01.04
- 최종 저작일
- 2011.05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화콘텐츠와 한류(韓流)의 개념
1) 문화콘텐츠의 의미
2) 한류(韓流)의 개념
2. 한류선호의 의미
3. 국가브랜드와 한류의 역할
4. 한류의 평가
5. 한류의 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해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21세기 지식기반 창조경제시대로 접어들면서 각국은 소프트웨어ㆍ지식산업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으며, 대표적인 분야로 문화콘텐츠 분야를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문화콘텐츠 5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콘텐츠 분야를 17개 신 성장 동력 산업 중의 하나로 포함시켜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은 연평균 증가율 약 7.1%로 성장, 2012년 약 100조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IT의 뒤를 이어 신 시장 개척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사회복지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예로 <대장금>은 2005년에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어 오히려 반 한류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대장금>은 2009년 누적기준 65개국 이상에 수출되어 $1,20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대장금>으로 인한 직접 수익은 464억 원에 달하였고, 생산유발효과는 1,119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류의 지속과 확산을 위한 전략 및 정책 개발의 소홀로 한류가 위기 국면을 맞고 있다. 후속 한류 히트상품이 부족하고 반 한류 분위기의 형성, 기타 문화상품으로 확산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속력이 약화되고 있다.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한류가 여전히 일부 재능 있는 ‘스타 마케팅’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스타 마케팅은 초기에는 도움을 줄지 몰라도 성숙ㆍ발전 단계에서는 한계가 뚜렷하다. 또 한류를 다른 분야로 확산시키는 못한 것도 크다. 한류를 음식ㆍ축제 등 다른 파트로 옮기지 못했고 경제에는 더더욱 접목시키지 못했다. 그 이면에는 정부가 2000년대 부상한 한류 열풍을 살리겠다며 수많은 사업을 벌였지만 정작 이를 체계적으로 국가경제에 활용하는 데 실패한 것도 작용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대응력 부재 말고도 산업측면에서의 구조적인 문제점도 지적됐는데, 영화판권 수출 판로가 지나치게 편향돼 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고정민. 한류의 지속화를 위한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5.
권호영 외. 한류 확산을 위한 전략과 정책.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8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한류포에버. 국제문화선업교류재단. 2008. 12
김상훈.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KDI 이슈페이퍼. 2009. 03
김영덕. 한일 드라마 제작환경 비교. KBI포커스 09-02(통권64호). 2009.
성숙희. 드라마 산업 발전과 외국정책 평가. 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9.
안기수, 이명현. 우리이야기와 문화콘텐츠. 서울: 보고사. 2008.
정수영. 열성 한류 팬을 통해 본 한류의 의미 및 한일관계 전망. 「미디어, 젠더 & 문화」 11호. 2009.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www.kbi.re.kr
한국콘텐츠진흥원. www.kocca.kr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08~2012, PwC,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