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장소에서 용접 및 습한장소에서 전기용접시 위험요인과 이에 대한 작업관리 방법에 대한 실무자료
상세한 유형별 분류 및 사고사례를 첨부하여 리포트 및 발표자료로 활용가능
목차
1. 밀폐장소/습윤장소 용접의 위험성
2. 밀폐/습윤장소에서의 용접작업 방법
3. 용접작업 시 화재.폭발 예방대책
4. 습윤장소 전기용접 감전예방대책
5.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유해인자와 건강장해
6. 질식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7. 건강관리 및 위생관리
본문내용
‘밀폐장소 용접’이란?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중독.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행하는 용접작업을 말한다.
‘습한장소 전기용접’이란?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장소에서 행하는 용접작업을 말한다
밀폐장소/습윤장소 용접’의 위험성
o 고열 및 불티에 의한 화재.폭발
o 충전부 접촉에 의한 감전
o 용접흄, 유해가스, 유해광선, 소음, 고열에 의한 건강장해
o 유독물 체류장소 및 밀폐장소에서의 중독 또는 산소결핍
o 용접에 의한 화상
‘밀폐공간에서의 용접작업’
① 급기 및 배기용 팬을 가동하면서 작업한다.
② 작업 전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18% 이상 시에만 작업한다.
작업 중에 산소농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수시로 점검한다.
③ 흄용 방진마스크 또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한다.
④ 소음이 85 dB(A) 이상 시에는 귀마개 등 보호구를 착용한다.
⑤ 탱크맨홀 및 피트 등 통풍이 불충분한 곳에서 작업 시에는 긴급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조치(외부와의 연락장치, 비상용사다리, 로프 등을 준비)를 취한 후 작업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