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국악기의 종류
- 최초 등록일
- 2003.05.19
- 최종 저작일
- 2003.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국악이란
2. 국악기의 분류
⑴ 제작 재료에 의한 분류
⑵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
⑶ 연주법에 의한 분류
3. 국악기의 종류
⑴ 현악기 (8가지 외)
⑵ 관악기 (7가지 외)
⑶ 타악기 (7가지 외)
본문내용
1. 국악(國樂)이란?
'한국음악'의 준말. 한국 음악이란 우리 나라 고유의 음악으로 국악기를 다루어서이루어지는 고전 음악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에는 아약(雅藥), 범패(梵唄), 무악(무속 음악:무당이 굿을 할 때 하는 음악), 산조(散調), 판소리, 장가, 민요, 농악 등이 있다.
2. 국악기의 분류
⑴ 제작 재료에 의한 분류
① 금부(金部):금속으로 만든 악기-편종, 특종, 방향, 징, 나발, 꽹과리.
② 석부(石部):돌을 깎아 만든 악기-편경, 특경.
③ 사부(絲部):실로 된 악기-거문고, 가야금, 해금.
④ 죽부(竹部):대나무로 만든 악기-피리, 대금, 단소, 퉁소.
⑤ 포부(匏部):박을로 만든 악기-생황.
⑥ 토부(土部):흙을 구워서 만든 악기-훈, 부, 다각.
⑦ 혁부(革部):대개 둥근 통에 가죽을 씌워 만든 악기-장구, 북, 좌고, 소고.
⑧ 목부(木部):나무로 만든 타악기-박, 축, 어.
참고 자료
하이디학생대백과사전12권 (교육 문화사)
어버이 생활백과 (文公社)
계몽사 CD-ROM 대백과 (계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