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량안보에 관해 현황과 원인을 밝히고 세계에 대응에 관해
목차
1. 서론
2. 현황
3. 식량부족의원인
1)경제적 위협 요소
2)정치적 위협 요소
3)환경적 요인
4)교역 측면
4. 한국 식량위기 현황 및 취약점
5. 식량위기에 대한 세계의 대응
6.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인류에게 식량은 생존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지금 세계는 식량위기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과학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을 거듭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더 심각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식량위기는 과거 1970년대 초반과 80년대 초반에도 경험한 적 있다. 당시에는 이상 기후, 식량무기화, 오일쇼크에 의한 생산비 급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였지만, 지금은 중국, 인도 등 신흥 국가들의 생활 패턴 변화, 기상 이변, 곡물을 이용하는 바이오 연료 생산 증가 등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함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요인에 의한 곡물가격 상승이 점차 장기화되고 반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FAO와 OECD가 내놓으면서 글로벌 식량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식량 자급률이 하락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글로벌 식량위기의 영향을 직, 간접적으로 받고 있으면서 식량안보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식량안보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한 만큼 자유무역정책을 실시해 식량은 수입하고 공업제품은 수출하는 정책을 편 영국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연방 국가들로부터 식량을 조달하였기 때문에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한 영국은 세계대전을 통해 국경이 봉쇄되면서 그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그 후 농업생산 증대, 보호무역, 농가소득지지 등의 정책을 펼쳤다 . 이 결과 1970년대 곡물 자급률이 59% 정도였던 영국은 2009년에는 101%로 자국 내에서 생산된 곡물만을 가지고 자급이 가능한 식량안보국가가 되었다.
그렇다면 식량안보의 개념은 무엇인가? 세계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 FAO)의 정의에 따르면 “식량안보 확보는 모든 사람들이 활동적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하며 중분한 식량에 대해 항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이 글에서 식량위기의 현황과 원인을 경제적, 정치적, 환경적 측면, 교역측면으로 살펴보고,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과 해결방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농협경제연구소, “글로벌 식량위기와 대비책, 농협의 역할”, 2012.
박준근, 구자옥, 송경환, 이기웅 박평식, 김채옥. “인류의 식량”. 전남대학교, 광주광력시, 281쪽,
경향신문, ‘세계 식량위기 오나’, 이재덕 기자, 2012년 8월 26일.
FAO (2009.10). Global agriculture towards 2050
여영현, 2000, “미국의 대한 농산물 장벽에 보고서 대한 검토의 의견”, 농협조사월보, 농업협동조합중앙회, 17-25쪽
Ducharne, A (2008). "Importance of Stream Temperature to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Quality",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2:797-810
최기련 외 1999, “물 식량 에너지 등 생존 관련 기술개발사업에 추진 방안에 대한 연구”, 과학기술부, 아주대학교, 1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