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문화트랜드 읽기, 영화산업의 글로벌리제이션
- 최초 등록일
- 2013.12.08
- 최종 저작일
- 2013.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글로벌리제이션의 개념
2. 글로벌리제이션의 역기능적 가능성
3. 영화산업의 글로벌리제이션
4. 세계 영화산업의 글로벌리제이션현황
5. 세계 영화산업의 글로벌리제이션
6. 한국영화산업의 글로벌리제이션
7. 민족주의와 민족국가
8. 글로벌리제이션과 다문화주의
본문내용
1. 글로벌리제이션의 개념
안소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글로벌리제이션이란 서로 다른 지역에서의 일상적인 생활조차도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일들에 의해 영향받게 되고 영향을 주게 되는 삶의 관계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차원에서 심화되고 있는 형상’이라고 설명하였다(Giddens, 1990). 그의 설명에 따르면 글로벌리제이션은 사람들의 삶이 공간적 차이를 넘어 시간적으로 일치되는 연대성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의미에서 논의하고 있는 또 다른 사회학자로는 마틴 앨브로우(Martin Albrow, 1990)를 들 수 있는데 그는 글로벌리제이션이란 이 세상 사람들이 하나의 세계 사회, 즉 지구 사회 속에서 한 덩어리가 되어 서로 얽혀가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전개 과정이라고 규정했다. 이와 비슷한 내용을 밝힌 또 한 사람의 견해에 의하면 ‘글로벌리제이션의 특징은 새로운 생산의 국제화 과정, 새로운 국제적 노동 분업 과정, 새로운 세계적 노동이주 과정, 그리고 이러한 과정들을 가속화시키는 경쟁적인 국제 환경, 더 나아가 민족 국가의 국제화 과정으로의 변모로 나타나고 있으며 마침내 개별 국가조차도 글로벌하게 하는 세계적 변화의 가속 현상을 의미한다’는 것이다(Robert Cox,1994).
2. 글로벌리제이션의 역기능적 가능성
글로벌리제이션이란 우리 모두가 지구촌의 한 고장에서 함께 어울려 살게 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것은 어느 면에서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변화, 즉 강한 국가가 약한 국가를 억누르고 가진 자가 갖지 못한 자를 영원히 종속시키게 되는 새로운 고통의 순간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논의도 적지 않다. 이러한 논리를 주장하는 사람 중 가장 대표적인 사람으로는 칸터(Rosabeth Moss Kanter)나 로벗슨(Roland Robertson)을 들 수 있다.
참고 자료
영화진흥위원회(KOFIC) 해외자료 국제공동제작 ‘제작사례’
한국 콘텐츠 진흥원(KOCCA) 연구보고서 “[kocca연구보고서 10-07]2009해외콘텐츠시 장조사-영화”,
한국 콘텐츠 진흥원(KOCCA) 연구보고서 “[통계브리핑] 세계 영화제작 및 소비시장 동향과 시사점”,
한국 콘텐츠 진흥원(KOCCA) 연구보고서 “한국영화 인재의 할리우드 진출현황”
진덕규, 『글로벌리제이션, 그리고 선택』, 학문과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