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PCM 전송발전
1. DPCM
2. ADM
3. ADPCM
1) 이론
2) 시스템 구성도
3) 양자화 계단 크기 결절
4) 음성통화모델
Ⅲ. PCM기반의 음성 코덱
1. 보이스 전용 코덱(G.계열)
2. G.711(PCM)
3. G.721(ADPCM)
4. G.722(SB-ADPCM)
1) Subband-ADPCM이란
2) G.722표준
5. G.726
6. 그 외 G계열 표준(참고)
Ⅳ. 음성코덱의 응용사례 : VoIP
1. 음성코덱의 사용
2.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PCM 전송방식
보통 통신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음성신호와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신호를 그대로 통신에 사용하게 되면 통신로의 잡음이나 일그러짐으로 인한 방해를 받게 되기 때문에 원거리통신이나 잡음이 많은 통신로에서는 정확하게 신호를 전달할 수가 없다. 반면에 PCM전송방식에서는 Pulse의 유무로 통신내용을 전달할 수가 있으므로 적당한 중계처리를 하면 원거리에서도 정확하게 통신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CM 전송방식은 이와 같은 펄스통신방식의 이점을 음성과 같은 연속변화량의 통신에 적용한 것이다.
PCM원리의 기초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일정한 시간간격 안에서 sampling하는 것이며, 이것을 시분할에 의한 신호의 표본화라고 한다. 표본화된 신호의 진폭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값을 가지나 이것을 양자화 값에 따라서 간단한 값으로 한다. 양자화를 세밀하게 하느냐 거칠게 하느냐에 따라 복조신호의 원 신호에 대한 충실도가 결정된다.
Ⅱ. PCM 전송발전
1. DPCM(Differential PCM)
고품질의 PCM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표본화 펄스열을 Nyquist rate보다 높은 반복율이 되도록 하거나 양자화 레벨을 보다 적게 하는 방법 또는 그 양쪽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것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음성이나 비디오 신호 세력이 낮은 레벨 범위(120dB)에 많이 분포 한다는 것 등을 고려한 non linear 양자화 또는 적응 양자화의 사고방법을 도입한 고 효율화 방식 등이 개발되고 있다.
참고자료
· 통신실험(Communication Laboratory) 아주대학교 전자공학부
· DPCM, ADPCM 이론,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levelup5 Redirect=LoglogNo=100015179486
· 통신 시스템 공학 (ELECTRONIC COMMUNICATIONS SYSTEMS) ROY BLAKE 저
· g.xxx 계열 음성(보이스) 코덱에 관한 자료,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ppusarida Redirect=LoglogNo=40060736075
· VOIP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gungrave Redirect=LoglogNo=12010418184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