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총신에 들어올 때에 개혁주의가 무엇인지 잘 알지 못했다. 많이 듣기는 했지만 그 개념이 모호했다. 왜냐하면 자유주의신학이 아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신학이 개혁주의신학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20세기 후반이 되어 개혁주의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무엇을 개혁주의라하며, 어디까지를 개혁주의라고 하는가? 내가 알기로 한국교회에 약 250개의 크고 작은 교단들이 자신의 교단이 개혁주의임을 천명하고 있다. 입학 후 개혁주의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수업시간에 귀를 기울이고, 신학지남, 봄과 가을에 나오는 학술지 등에 개혁주의 관련된 내용이 실리면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 그런 후 개혁주의의 윤곽을 발견했다. 성경적인 것이 개혁주의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특히 종교개혁자들이 피를 쏟으며 회복하려 했던 것이 바로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외침이었다는 사실은 상당히 매혹적이었다. 왜냐하면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회심한 후 홀로 성경을 읽으면서 인간에 대하여, 자연에 대하여 엄청난 사실들을 깨달으면서 성경이야말로 참이라는 생각을 굳혔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교개혁자들이 너무나 좋았다. 그들의 사상과 용기, 진리를 수호하기 위하여 바친 헌신!, 오직성경, 오직은혜, 오직하나님께 영광! 얼마나 멋진가! 나는 총신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워졌다.
그런데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서 개혁주의에 대한 혼란이 오기 시작하였다. 총신에 입학하기 전에 들었던 의문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복잡해졌다. 그것은 교단과 학교 그리고 학문은 개혁주의를 말하지만 실상은 다른 교단이나 학교보다 덜 개혁주의적인 현상들을 많이 보았기 때문이다. 만일 이러한 상태가 계속된다면 나는 교회 특히 한국교회를 이해하기 위하여 역사적인 관점을 수립해야 할 것인데, 기준이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나는 교회사를 배우면서, 특히 한국 기독교회사를 배우면서 역사를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그 사건과 의미가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보았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한국 기독교회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개혁주적(성경무오) 관점은 필연적일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