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수행평가의 시행 배경과 중요성
2. 수행평가의 이론적 배경
II. 본 론
1. 현행 수행평가의 실태
2. 현행 수행평가의 문제점
3. 현행 수행평가의 해결방안
Ⅳ.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세에서 근대로, 근대에서 현대로의 이행은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한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프레임)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 이른바 패러다임이 뒤바뀌는 것을 뜻한다. 21세기의 사회는 종래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세계화와 정보화가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수행평가 시행은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출발했다. 지식 기반 사회로의 급속한 이행에 따라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 높은 사회적 가치로 인정받게 되었는데 주체성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정보화 사회, 미래의 정보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단편적・사실적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중시 했던 종래의 평가에서 벗어나 정보의 탐색・수집・분석・비판・종합・창출 능력, 자기주도적인 평생 학습 능력,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 협동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추어 교육은 학습자들의 비판적 능력과 창의성을 계발하는 것을 주요 학습 목표에 포함시켰다.
이에 발맞추어 교육평가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변화들이 일었는데 첫째, 신뢰도, 객관성을 중시하던 평가활동으로부터 타당도, 공정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전환. 둘째, 평가 결과를 수량화, 점수화하던 경향으로부터 기술하고 묘사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판단 및 결정을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전환. 셋째, 암기, 이해 위주의 분석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중심의 평가로부터 사고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 등 고등정신력 위주의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변화, 성장, 발달을 주요 평가대상(내용)으로 하는 평가로의 전환. 넷째, 교육목표중심의 평가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교육효과를 포함한 탈목표적 평가를 지향하는 열린 평가로의 전환. 다섯째, 비교경쟁 위주, 개인중심의 학습체제로부터 특성(장점 및 단점) 파악 위주, 협동중심의 학습체제로의 전환.
참고 자료
김이종(1993), 「국어과 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김슬아(2007), 「국어과 수행평가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자(2001), 「중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미숙(1999),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최미숙(2008), 「국어과 평가 정책 연구―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제36집, 국어교육학
허경철(1997), 「초・중등학교 교과별 수행평가의 실제(1) - 총론-」, 수행평가 현장 정착을 위한 세미나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황미황(1999), 「교육과정 실현으로서의 국어과 수행평가」,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국어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