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945년 이후의 자본주의
1. 1945~1950년, 전후 재건과정
1.1 전후 혼란과 거대 강국의 정책들과 전후 첫 두해의 경제 상황
1.2 마셜원조, 유럽과 일본의 새로운 전환, 호황을 향해가는 세계 경제
2. 1950-1974년, 대호황
2.1 황금의 해들, 관리되는 새로운 자본주의, 미국 지배의 쇠퇴
2.2 과잉축적, 경기 과열, 석유와 1974년 공황
3. 1974년 이후, 불황 극복 과정
3.1 대불황, 노동자와 생산조직의 변화, 국제관계의 변화
3.2 합의의 역전, 시류에 반대해서, 자본주의는 성공하였는가?
[3]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4. 사회
4.1.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식사회로
4.2. 조직사회
4.3. 자본의 탈락-연금기금 등장
4.4. 새로운 노동력의 생산성
4.5. 책임에 기초한 조직
5. 정치체제
5.1. 국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정치체제의 변화
5.2. 정보화 시대의 국제 조직
5.3. 정보자본주의를 갖는 경제체제의 형태
6. 지식
6.1. 지식 : 지식경제학, 지식생산성
6.2. 학교의 책임과 교육받은 사람
[4] 현대 자본주의 평가
7. 자본주의의 발전과 경제 정책 이론
8. 현대 자본주의가 보이는 특성들
8.1. 자본의 국제화
8.2. 글로벌라이제이션
8.3. 정보자본주의의 등장
9. 이제는 지식혁명시대이다.
[5]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2차 대전이 끝나고 세계 경제는 자본주의의 이름 하에 눈부신 발전을 이룩했다. 비록 도중에 공황이 있긴 했지만 그때 그때 잘 대처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지금은 한 국가의 개념이 아닌 세계 공동체로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이룬 모습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자면 NAFTA, APEC, EU, ASEAN등과 같은 지역 기구들은 일대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 현대 자본주의에 대한 평가가 자본이나 천연자원(경제학자들이 말하는 '토지')또는 노동은 이제 더 이상 기본적인 경제적 자원-- 경제학적 용어로는 [생산수단] --이 아니라는 의견이 나왔다. 새로운 생산수단은 지식이며 앞으로도 또한 지식일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더 이상 자본주의가 아닌 탈자본주의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글이 나오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자본주의의 변화를 설명한 책. 암스트롱외 2인, 1945년 이후의 자본주의 (CAPITALISM SINCE 1945), 김수행역, 과 피터 드러커의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를 개괄하여 보고, 아울러 현대자본주의에 대한 본인의 평가를 내려보려고 한다.
참고자료
· 김수행 역, 1945년 이후의 자본주의, 1994
· 김석준, 한국의 세계화 비젼 공보처, 1995.
· 김석준, 세계화 청사진: 1995-2020, 공보처, 1995.
· 김석준, 세계화 지표연구, 이화여대, 1994.
· 김인수, “지식경영: 학문적 연계성과 연구방향”,1999
· 노나카 이쿠치로 “노나카의 지식경영”, 1998
· 노나카 이쿠치로 “지식 창조의 경영”, 1995
· 박길성,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 나남, 1995.
· 박상섭편, 세계화를 지향하는 한국정치, 나남, 1996.
· 이경태편, 한국의 선진화 지표, 나남, 1996.
· 이순철, “지식경영의 이해”, 1999
· 이진주편, 과학기술이 여는 21세기, 나남, 1996.
· 유영만,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1999
· 조은편, 정보화 시대의 문화와 여성, 나남, 1996.
· 매일경제, “제2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엄”, 1999
· Thomas H. Davenport & Laurence Prusak, “Working Knowledge”, 1998
· Peter F. Drucker, “Post-Capitalist Society”, 1993
· Peter F. Drucker, “Managing in the Next Society”, 2002
· William Bremer & Charles Winslow, “Futurework”
· William J. Clancey, “Practice cannot be reduced to theory: Knowledge Representations and change in the work place”
· Rob van der Spek & Andre Spijikervet, “Knowledge management: Dealing intelligently with knowledge”, 1997
· Paul S. Myers (Editor),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Design”
· Jay Liebowitz & Lyle C. Wilcox (Editor),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Intergrative Element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