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조사 내용
(1) EMO의 원리
(2) EOG의 장단점
(3) 온도안진검사
(4) 온도안진검사에서의 CP, DP, FI의미
(5) 전정신경핵과 전정안반사
(6) 전정계 기능 검사법
4. reference
본문내용
전체 데이터에서 CP, DP 등을 구할 때 slow component의 속도가 아닌 slow component의 속력의 값을 사용하였다. 왜냐하면 여기서 +,- 부호는 단지 안구의 운동방향이 각각 오른쪽, 왼쪽임을 의미할 뿐이기 때문이다. CP, DP에서 원하는 값은 실제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얼마나 빠르게 눈이 움직이냐 하는 값이기에 속력이 더 적합한 값이다. 또한 CP, DP의 값이 -로 나왔는데 이는 단지 계산 시에 왼쪽 데이터에서 오른쪽 데이터를 뺀 값이 -가 나온 것이므로 별다른 의미가 없다. 단지 CP, DP의 값은 그 절대값이 각각 20~30% 미만, 30~40%미만의 값이 나오면 되는 것이다.
CP, DP의 값은 각각 20~30% 미만, 30~40% 미만의 값으로 정상값이 나왔다. 또한 FI값의 경우 50~60% 미만이 나와야했는데 모두 적당한 수치가 나왔다. 오른쪽과 왼쪽을 따뜻한 물로 실험한 경우만 visual fixation을 실험하였으므로 FI는 이 두 수치만 존재한다.
visual fixation시에는 원래의 nystagmus의 방향으로 운동하되 더 작은 범위로 안구가 진동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데이터에서 동일한 부호를 갖는 기울기가 더 작은 성분으로 구성된 peak로 나타난다.
실제 회전을 한 뒤 visual fixation 될 때와 caloric test에서의 visual fixation의 차이는 전자의 경우 처음 안진이 일어났던 반대방향으로 안진이 일어나지만 후자의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안진이 일어난다. 이 둘의 차이는 전자는 계속 회전을 하게 되면 내림프의 회전 속도와 cupula의 회전 속도가 동일해져서 더 이상 cilia 들의 기울어짐이 사라지게 되었다가 갑자기 정지한 후 fixation을 하면 내림프는 관성에 의해 원래의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데 cupula의 hair cell은 정지하므로 처음 회전 때와 반대로 cilia들이 기울어져서 일어나게 된다.
참고자료
· 대한평형의학회지 제 4권, 전기안구운동기,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이형
· 전정안반사의 해부와 생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 김성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