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여는글II. 제주 4.3 사건
1. 제주 4.3 사건의 배경
2. 제주 4.3 사건의 전개과정
3. 제주 4.3 사건의 피해상황
4. 제주 4.3 사건의 성격과 의의
III. 여순 사건
1. 여순 사건의 배경
2. 여순 사건의 전개과정
3. 여순 사건의 피해상황
4. 여순 사건의 쟁점
본문내용
I. 여는글현재 한반도는 두개의 국가가 존재한다. 남한과 북한. 이는 해방이후 미소에 의해서 각각 다른 체제를 가지고 국가를 세우게 되었다. 이러한 두 체제의 대립은 해방 직후 가장 첨예하게 대립되었으며 많은 피해를 낳게 되었다. 1948년 4월 3일 시작되었던 제주 사건과 여순 사건 역시 좌익과 우익의 대립으로 일어났던 사건으로 많은 민간인들의 피해가 따랐던 역사적 사건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약 50여년이 흐른 지금 관련 법안의 통과와 진상규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계속 진행 중이다.
제주 4.3사건은 '좌익세력의 주동에 의해서 일어났던 반란'이라고 기억이 되어오면서 많은 제주도민들을 학살하고 이를 정당화하면서 남겨진 많은 제주도민들에게 많은 사회적 불이익과 함께 정신적인 고통까지 안겨주었던 사건이었다. 많은 우익세력이나 보수 세력들이 이 사건이 '항쟁'이 아닌 '반란' 혹은 '폭동'으로 불리었지만, 제주도민들의 끊임없는 진상규명과 함께, 서적이나 방송을 통해 이 사건을 재확인 되고 있다.
<중 략>
① 육군본부“공비토벌사”1954
여수순천반란사건으로 서술되어있고 48년 사건당시 이래 대한민국 정부(국방부)의 공식입장이다. 저자는 진압의 주체는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였고, 이 사건이 성격을 반란으로 규정하고, 당시 지방 민간인의 참여는 반란군의 민중을 선동 공갈하여 맹종을 강요한 것으로 보았다.
②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1967
여순사건의 진압작전을 중심으로 비교적 상세하게 서술함. 공비토벌사의 시각과 동일하다.
처음으로 여순사건의 전개과정을 지역 날짜 시간별로 진압군의 입장에서 서술한데 의의가 있다. 남로당의 제2전선 형성설을 주장하였다.
이 책에 나타난 여순사건에 대한 시각은 이후 전통주의적 입장에 선 여순사건 연구의 기본시각으로 자리 잡음
③ 김남식 실록남로당 신현실사 1975
14연대 폭동 여순14연대 반란등의 명칭을 함께 사용 반란군 폭동군 이라는 단어 사용
여순사건은 14연대내의 남로당 사병조직에 의해서 자행되었고 상부인 남로당 전남도당이나 여수지부당과 관련없이 돌발적 행동이라고 봄
참고 자료
노민영. 잠들지 않는 남도. 온누리. 1988역사문제연구소·역사학연구소·제주 4.3 연구소·한국역사연구회. 『제주 4.3연구』. 역사비평, 1999
濟民日報4.3 취재반. 『4.3은 말한다』. 전이원. 1994
아라리 연구원. 『제주민중항쟁Ⅰ』. 소나무. 1988
강만길. 『고쳐 쓴 한국현대사』. 역사비평. 1994
박현채. 『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 소나무. 1994
브루스 커밍스 지음, 김동노·이교선·이진준·한기욱 옮김.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주)창작과 비평사. 2001
김인걸 외 편저. 『한국현대사 강의』. 돌베게. 1998
한국역사연구회현대사 연구반. 『한국현대사1』. 풀빛. 1991
데이비드 콩드 지음, 편집부 역. 『분단과 미국』. 사계절. 1988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현대사연구소편, 한흥수·이우진·김영명·정근식·신승권·김영수·이태욱·『한국현대사의 재인식』. 도서출판 오름. 1998
제주4.3 연구소. 『무덤에서 살아나온 4.3수형자들』. 역사비평사. 2002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제주 4.3 사건 진상 규명 보고서
장두환(1999). 제주4.3연구. 역사비평사
제민일보 4.3취재반(1994)
함옥금의 논문 제주4.3의 초토화 작전과 대량 학살에 관한 연구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편 2
제주 4.3 연구
우리역사 이야기
조남현(1993). 제주 4.3사건의 쟁점과 진실
www.ihcy.net
4.3 연구소 홈페이지: www.jeju43.org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여순사건 실태조사 보고서 제1집. 열린기획. 1998.
한국전쟁 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실태보고서.
한울아카데미. 2005.
홍영기. 문헌자료와 증언을 통해본 여순사건의 피해현황. 4ㆍ3과 역사 제1호 . 2001.
안종철. 여순사건의 배경과 전개과정.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8.
육군본부. 공비토벌사.1954
김남식. 실록남로당. 신현실사. 1975
황남준. 전남지방정치와 여순사건,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1987
김락원. 여수 향토사. 여수 문화원. 1962
홍영기.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정청주. 여순사건 연구 현황과 과제. 1998
여수지역사회연구소: http://yosuic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