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이번에 실습하게된 대구의료원 라파엘 병동 52병동은 내과병동인데, 이전에 실습했던 동산의료원 외과병동에서 실습했을 때 보다 내가 배운 질병들이 많아서 공부하는데는 어렵지 않았던 것 같다. 본관이 아니다보니 다양한 질병들을 접해보진 못했지만, 관심이 생긴 질병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간경화증이다. 내가 케이스를 잡은 환자분은 겉으로 봤을 때 딱히 중한 증상은 없었지만 어딘가 불안해 보이고 황달이 심한 모습을 볼수 있었다. 그래서 더 자세히 알아보았더니 병명이 간경화증이었다. 간경화증이라는 병을 들어는 봤지만 조금 알아보니 원인이 나 증상이 매우 다양한 걸 보고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간 경화증에 대해서 더 자세히 연구해보려고 한다.
Ⅱ.문헌고찰
1. 간경화증의 정의
간경화는 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것으로 주로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괴사가 원인이다. 간경화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세계적으로 B형 간염이다. 미국의 경우는 알코올성 간질환과 C형 간염이 간경화의 흔한 원인이다.
<중 략>
(2)방사선 검사
복부의 단순 X-선 검사에서 간 비대, 비장 비대, 다량의 복수를 발견할 수 있다. 초음파로 병변을 명확하게 진단할 수 없는 경우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한다.
(3) 기타 진단검사
간 초음파 검사로 복수, 간 비대, 비장 비대, 담석, 담관폐색을 진단할수 있으며 간문정맥 혈전증과 간문맥혈의 흐름이 정상인지 또는 역행하는지를 알 수 있다. 생검으로 정확한 병리상태와 질병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대상자가 출혈 위험성이 있으므로 위험하다. 피부를 통한 생검도 대상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방사선 전문가가 경정맥을 통해 가늘고 긴 도관을 넣은 후 간정맥과 간을 관통하는 간생검을 시행한다. 생검이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 간스캔을 하여 간경화나 다른 간질환을 구분한다. 간경화 대상자에서는 동맥촬영술은 거의 하지 않는다.
<이하생략>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 외 공저, 현문사, 2011년
· 핵심성인간호학1, 성인간호학회 편, 도서출한 하누리, 2011년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공저,현문사, 2013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