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트레스의 개념
2. 스트레스의 원인
3. 스트레스의 증상
4.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방법
본문내용
1. 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스(stress)는 이전부터 물리학에서 사용되던 용어인데,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스트레서 (stressor)에 의해 발생하는 심신의 왜곡된 상태를 말한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인자(stressors)에 대한 생리적․정서적 반응이다. 스트레스 인자는 개인의 평형 상태(내적 균형 상태)를 깨트리고 스트레스 반응을 초래하는 외적요구, 상황, 환경이다. 스트레스 인자는 매우 다양하다. 직업상실, 큰 소음, 유독물질, 은퇴, 논쟁, 배우자 사망, 요양원 입소, 중증의 질병, 인생목표의 상실, 시험 등이 있다.
<중 략>
▶ 심리적반응
- 무력감 : 자기생활의 여러 가지 조건들을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데서 오는 희망상실이나 대처할 수 없다는 데서 오는 무기력감은 개인의 살아가려는 의지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현상은 전쟁 중에 포로가 된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데, 이들은 자기 힘으로 무엇을 할 수 없고 희망도 없다고 생각하며 생을 거의 포기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두려움이 없다. 불안과 공포는 희망과 함께 존재하는 것이므로 희망이 없을 때는 불안과 공포가 없다. 즉 죽기를 각오한 사람은 두려울 게 없다는 것과 같다.
- 우울감 : 정서적 긴장과 불안이 지속적으로 누적되면 결국은 병적인 우울증으로 발전된다. 사람은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일시적으로 기분이 우울해지고 열등감이나 후회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정상인에게는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우울증 환자는 더 심한 반응을 보이며 깨어진 정서적 균형을 되찾기 어렵게 된다.
우울감을 유발하는 대부분의 스트레스 상황은 주로 사랑하는 대상을 잃거나 잃어버렸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 상실은 정적 관계의 철회나, 신체적 고립, 혹은 죽음 때문일 수 있다. 정적 관계의 후퇴는 배우자가 냉담하게 아무말도 않는 경우와 같은 것이 전형적인 예이다.
- 충격 후 스트레스성 장애 : 생명을 위협한ㄴ 심각한 상황을 직접 경험했을 때, 사람들은 흔히 ‘외상 후 스트렛장애’를 입게 된다.
<이하생략>
참고자료
· 정신건강론 유수현, 천덕희 외 3명 저 | 양서원 | 2011.09.15
· 정신건강론 권육상 저 | 유풍출판사 | 2010.02.25
· 정신건강론 김혜금, 송영주 외 3명 저 | 정민사 | 2011.02.25
· 정신건강론 김윤재, 김정수 외 2명 저 | 동문사 | 2012.02.25
· 현대인의 건강교육 김영준(교수) 저 | 동아대학교출판부 | 2009.08.31
· 현대인의 정신건강 장연집(교수) 저 | 학지사 | 2006.01.10
· 정신건강의 실제 박영숙 저 | 하나의학사 | 2010.12.20
· 한국사회의 정신건강 한국교육포럼21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저 | 교육과학사 | 2012.01.30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와 임상미술치료 김선현 저 | 이담북스 | 2012.05.30
· 스트레스를 날려버릴 77가지 방법 루스 클라인 저 | 박미경 역 | 현문미디어 | 2010.07.02
· 굿바이 잡 스트레스 (스트레스 없이 유쾌하게 직장생활 하는 방법) 도흥찬(작가) 저 | 타임스퀘어 | 2008.08.20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최송식 저 | 공동체 | 2010.02.26
· 스트레스 치료법 한광일(전문직업기관단체인) 저 | 삼호미디어 | 2008.04.15
· 직무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전략 이종목 저 | 전남대학교출판부 | 2008.08.3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